널리 알려진 전기작가 슈테판 츠바이크의 몽테뉴 약전이다.
몽테뉴에 대한 이야기지만 책 제목은 <위로하는 정신>이다. 책의 부제(체념과 물러섬의 대가 몽테뉴)에 몽테뉴가 주인공이라는 사실이 드러나는데. 책 제목에 몽테뉴를 전면에 내세우지 않은 정확한 이유야 나로서는 모를 일이지만 혹 몽테뉴라는 이름이 예비 독자들에게 살짝 고루하게 느껴질까 염려한 출판사측의 고의가 아니었을지 추측해본다.
몽테뉴에 대해서는 ‘중세 때 수상록이라는 수필집을 쓴 인문학자‘ 정도로만 피상적으로 알고 있음에도 나 역시 그에 대해서는 알아보려 노력조차 시도해보지 않았으니, 나와 같은 이들의 몽테뉴에 대한 생각을 모를리 없는 출판사가 책이 더 많이 읽히길 바라는 마음에서 설령 그런 잔머리를 굴렸대도 그리 비난받을 일은 아닐 듯하다.
하여간 몽테뉴에 대해서는 관심이라곤 눈꼽만큼도 없던 내가 <위로하는 정신>을 읽기로 맘 먹은 것은 순전히 저자인 슈테판 츠바이크에 대한 각별한 애정때문이다. 지금껏 나를 실망시켜 본적이 없는 츠바이크가 썼다면 그것이 몽테뉴든 뭐든 상관이 없으니까 말이다. 이런 내 마음을 독심술로 읽은 것마냥 츠바이크는 서문에 이런 말을 남기고 있다.
˝아직은 젊어서 경험이 부족하거나 좌절을 겪은 적이 없는 사람은 그(몽테뉴)를 제대로 평가하거나 존중하기가 어렵다˝
내 마음을 똑 들켰다. 츠바이크는 이어서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경험을 해보고 시련을 겪어보아야만 비로소 몽테뉴의 지혜와 위대함을 존중할 수 있는....˝
책 첫 페이지를 열자마자 이 책의 정체성과 목적이 분명해졌고. 더욱이 이 책은 나처럼 몽테뉴를 ‘껌딱지‘로 알고 있는 이를 위한 책이었음이 더욱 명확해졌다.
...
˝몽테뉴가 평생 ‘나는 어떻게 살고 있나?˝라는 질문 말고는 아무 것도 하지 않았다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에게서 나타나는 놀랍고도 선량한 점은 그가 이 질문을 명령문으로 바꾸려 한 적이 없다는 사실이다. 즉 ‘나는 어떻게 살고 있나?‘를 ‘너는 이렇게 살아야 한다!‘고 바꾸지 않았다는 것이다. - p.110-
책을 다 읽은 지금에는 책의 제목처럼 <위로하는 정신>으로부터 위로받는 정신이 되었다.
이제는 몽테뉴의 <수상록>을 읽어볼 참이다. 검색을 해보니 철학자 파스칼은 몽테뉴를 우유부단하고 함께 일을 할 수 없는 사람으로 비난했다고 하는데, 이 에피소드를 다룬 책 역시 읽을 책 목록에 올려 놓아야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