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난 후에 남겨진 것들 - 유품정리사가 떠난 이들의 뒷모습에서 배운 삶의 의미
김새별.전애원 지음 / 청림출판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떠난 후에 남겨진 것들》

<한 번도 만나지 못한 타인의 흔적을 완벽히 지우는 사람>

특수청소&유품정리사..
죽은 자의 집을 청소하는... 그러니까 특수 청소를 하고 유품을 정리하는... 그러니깐 고인을 이사하시키는 그런 일을 하는 직업이다. 일을 하다 생기는 에피소드를 책에 담았다.
너무 먹먹하고 아프고 슬프다. 기분이 좋고 마음이 따뜻해지는 책은 아니다. 먹먹하고 적적하고 안타깝고 슬프다. 고립사, 고독사, 자살 등이 대부분이다.

이런류의 책을 두 번째 읽는다.
처음 접한 책은 김완 작가의 <죽은 자의 집 청소>이다.
죽은 자의 집 청소의 김새별 버전이다. (떠난 후에 남겨진 것들이 먼저 출간되었을 수도....)

하드웍스 대표의 책을 읽었으니 바이오해저드 대표의 책도 읽었다.

읽으면서 정말 안타까운 것은, 이 특수청소를 바라보는 주변의 시선이 곱지 않다는 것..
그래서 일의 육체적 힘듦보다도 정신적 스트레스가 훨씬 많다는 말에... 자식이 손가락질 받을까 봐 직업도 제대로 말 못 한다는 글을 보고는 정말 한숨이 나온다. 제발 좀 그런 시선으로 보지 않았으면 한다. 누군가는 해야 하고 누군가에겐 꼭 필요한 일을 하는 사람들이다.  제발이다 제발~~

🔖p.20 돌아가신 부모른 안고 우는 자식은 거의 보지 못했다. 하지만 부모는 반드시 자식을 품에 안는다.

🔖p.128 고독사가 의미하는 것은 죽음이 아니라 삶이다. 얼마나 고독하게 죽었는가가 아니라 얼마나 고독하게 살았는가를 말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