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소리를 삼킨 아이
파리누쉬 사니이 지음, 양미래 옮김 / 북레시피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주문해서 왔을 때 글씨도 작고 책도 두껍고 재미있으려나 걱정했는데... 아니 무슨.. 너무 재밌다. 다음이 궁금해서 책장이 계속 넘어간다.

주인공 샤허브는 초등학교 입학하기 전까지 말을 하지 않는 아이다. 아예 못하는 건 아니고, 하지 않는 것이다.
전문용어로 선택적 함구증을 가진 아이다.
유일하게 이야기하는 것은 상상의 인물 바비와 아시다. 이 둘하고만 이야기할 뿐 일체 부모하고도 말하지 않는다.

말 하지 않는 것을 지체아라고, 저능아라고 생각하는 모든 가족과 주변 사람. 그리고 유일하게 포기하지 않고 병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엄마 마리얌.

하지만 샤허브의 말문을 연 건 엄마 마리얌도 아닌, 외할머니 비비 할머니다. 비비 할머니는 잠시 딸 마리얌 집에 몇 달 사는데, 그때 샤허브가 가족에게 받는 차별을 보고 샤허브의 마음을 진심으로 위로하고 결국 샤허브의 말문을 열어준다. 결국 비비 할머니 덕분에 샤허브는 말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다.

하지만 아빠와의 골은 갈수록 더 깊어가고, 끝끝내 아빠라고 부르지 않고 '아라쉬 형(샤허브 친형)네 아빠'라고 하지만, 그 오해와 깊어진 골을 깰 수 있는 계기가 생기는데...

결국 책 마지막 구절을 보면 약간 속상하긴하다..

이란소설이다. 이란 소설을 읽긴 처음인데 그곳도 참 가부장적인 나라다. 여자의 인권은 정말 없는 곳인 나라다.

꼭 한 번 읽어보면 좋은 추천도서다.

🔖p.218 내 아들의 무죄가 이미 형이 집행된 후에야 밝혀진 것 같았다

🔖p.299 네가 사랑을 보여줘야 안지. 눈물 몇 방울 흘리고 슬퍼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게 사랑을 표현하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는 거니? 너는 아이에게 애정을 표현해야 할 때마다 한숨을 쉬고 이렇게 말하더구나. '네가 슬펴하면 엄마는 죽을 것 같아'

🔖p.300 삶이 힘겨울수록 마음을 기댈 사람이 필요한 법이야

🔖p.348 샤허브는 분명 그보다 더 많은 것을 받을 만한 자격이 있는 아이이기도 합니다. 저는 그저 샤허브가 저를 용서해주기만을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