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눈먼자들의도시
.
'가장 두려운 것은 오직 나만이 볼 수 있다는 사실이다'

모두가 눈먼 도시에 혼자만 볼 수 있다면?

결론은 그냥 생지옥이다. 지옥이 있다면, 이렇지 않을까?

눈이 안 보이는 건..정말 불행한 일이다.
손이 없는거,  다리가 없어 걷질 못 하는거, 말하지 못하거나 듣지 못하는 것에 비해도 눈이 안보이는건 정말....
.

생존을 위한 원초적인 욕구,
배고픔과 배설, 성욕과 이기심.
인간이 나락 끄트머리까지가면 어떻게되는지 .

인간이 아니라 짐승이 되는 순간..처절하다.

한 300페이지 넘어가야 좀 생각을 할 수 있는 것 같다.

읽고나서 궁금한게 몇 가지 나오는데..
.
1. 작가의 시점이다.
소설 속의 주인공처럼 이야기하다가 갑자기 전지적작가시점으로 신처럼 모든 내용을 설명하듯이 서술한다. 전지적작가시점과 3인칭 관찰자시점이 막 엉킨다. 굳이 그럴 필요 있는지 ..
.
 2. 등장인물 이름이없다.
작가는 의사, 의사의아내, 처음눈먼남자, 처음눈먼남자의아내와 같이 끝까지 등장인물의 이름 대신 이렇게 쓴다. 이게 눈이 멀은 사람이기에 이름이 필요 없다 느끼는건가? 난 눈이 멀었으니 더 이름이 있어야되는거아냐? 생각했는데.
.
3. 도시로 나온 의사의아내는 왜 자동차를 안타는거지?
이 세상 혼자 눈이 보이는데...이 도시를 상상하면 아수라장인데 거리에 차들이 수두룩하게 있을것이며, 키가없어서? 이건 음식을 찾아다니는 노력이면 벌써 차 키 찾았다.  차 몰고 다니면 편할 것을 계속 걷고 뛰고 힘들게 다닌다. 답답했다.

결과적으론 노벨문학상을 받은 책이다.
어쩌다 내가 이런 책까지 읽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