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논어 수업 - 매일 20분 논어 읽기, 우리 아이들 삶이 바뀐다
이도영 지음 / 비비투(VIVI2)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녕하세요.

오늘과 여러분과 함께 나누고 싶은 책의 제목은 샘솟는 기쁨에서 출판된 신간 <초등 논어 수업>이예요.



이전까지 논어는 훌륭한 고전으로만 바라보았어요. 이 외에 달리 생각하지 못해 왔던 것 같아요. 그런데 <초등 논어 수업>의 저자 이도영 선생은 고전이라고 막연하게 바라만 보았던 논어를 초등학생의 실제 생활 속에 적용시키는 분이세요. 이런 측면에서 참 대단하신 분인 것 같아요. 우리는 이 책을 통해서 어떻게 학생의 생활에 적용하는지 책을 통해서 배우면 매우 유익할 것 같아요.

먼저 저자의 교육 현장에 대한 헌신과 열정에 대해서 칭찬해 드리고 싶어요. 이 책을 보면 저자가 교육현장에서 자신의 소신대로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서 치열한 삶을 살았을지 짐작해 볼 수 있어요. 이런 저자의 열정적인 모습에 대해서 큰 박수를 보내드리고 싶어요.

현재 교육 현장은 교사의 사명감으로 감당하기에 매무 버거운 게 교육 현장의 현실이예요. 실제로 부모가 자신의 자녀를 학교에 보낸 후 자신의 한 몸조차 챙기기 매우 힘든 시대예요. 그렇다보니까 부모조차 자신의 자녀에게 관심을 갖지 못지는 안타까운 현상이 점점 늘어나고 있어요. 동시에 자녀의 교육을 학교에 전적으로 맡기는 이상한 현상도 더불어 증가하고 있어요.

학교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 목표를 세우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 기관이예요. 그런데 부모가 감당해야 할 일까지 학교에서 감당하도록 책임전가시키는 태도만큼 정말 무책임한 행동은 없을 것이라 생각되요. 이런 부모의 태도는 자녀의 담임 교사에게 자녀의 전부를 책임지라고 등 떠미는 것 같기 때문이예요.


담임 교사는 수업만 감당하며 크게 힘들어 하지 않을 거예요. 거기다가 담임교사에게 학생마다 각자 갖고 있는 독특한 성향과 마음의 상처를 받은 마음까지 모두 공감해야 된다고 하니까 어느 누가 버티겠어요. 이런 현상 속에서 저자는 논어를 깊이 공부한 후 자신의 삶 속에서 적용하고 실천하는 과정은 통해서 학생들에게 본을 보이기 위해서 매우 노력하는 분이세요.

저자는 어려운 한자를 스스로 익혀 논어 속에 숨어 있는 깊은 의미들을 깨달은 후 자신에게 맡겨진 학생들과 함께 생각하고 서로 의견을 나눈 후 각자의 삶에 적용하기 위해서 매우 노력하셨어요. 이런 저자의 몸부림이 많은 이들에ㅣ게 큰 도전으로 다가올 것이라 확신해요.

사전에 엿볼 수 있을 것 같다. 논어를 통해 학생들의 변화된 일상의 삶을 꿈꾸는 이도영 선생님 같은 분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그렇다고 논어가 만능키가 될 수는 없다. 이도영 선생님도 고백했듯이 논어는 단지 도구일 뿐이다. 행함이 없는 공부는 위선으로 나타난다. 이 땅의 부모가, 교사가 먼저 선인들의 좋은 가르침을 따라 실천하며 살아갈 때 자녀들이, 학생들이 변화될 거라 믿는다. 무더운 날씨에 잠시 벗어나게 할만큼 유익한 <초등논어 수업>을 추천해 드려요.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서평을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