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출근하지 않는다 - 번아웃과 이직 없는 일터의 비밀
앤 헬렌 피터슨.찰리 워절 지음, 이승연 옮김 / 반비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우리가 코로나 팬데믹을 경험했을 때 한 마디로 혼동 그 자체였어요. 왜냐하면 갑작스럽게 우리에게 찾아온 코로나 팬데믹은 마치 거대한 허리케인과 같았기 때문이예요. 실제로 코로나 팬데믹은 우리 삶의 소중한 터전들을 잠시 일시적으로 중단시키는 정도라기보다 무서운 속도로 이곳저곳 가리지 않고 파괴되었기 때문이예요.

 

이런 상황으로 인해서 우리는 밖에 나가는 것조차 두려워했던 것 같아요. 뿐만 아니라 누군가 대면으로 만나는 것도 너무 힘든 시간이었어요. 이때 우리의 삶은 하루 하루 칠흙 같은 터널 속을 통과하기 위해서 몸부림쳤던 것 같아요. 지금도 그 때만 생각하면 아찔하네요. 물론 우리는 여전히 코로나 팬데믹 시대를 살고 있어요. 이것이 가능하게 했던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은 당시 어두운 상황 가운데 놓인 우리에게 한 줄 빛과 같은 역할을 해주었어요.

 

이 때부터 사람은 재택근무를 하게 되었어요. 이로 인해서 우리는 비대면 가운데에 서로 모두 얼굴을 보고 대화하며 함께 자료를 나누고 회의도 할 수 있게 되었어요. 사람은 비대면 어플리케이션의 편리함을 알게 된 후 많이 이용하기 시작했어요. 이 후 우리는 과거 매일 출/퇴근 시간에 시달리고 사무실이라는 공간 안에서 얽매여 근무해왔던 사실에 대해서 다시금 생각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던 것 같아요. 이런 생각을 보다 구체적으로 생각하게 이끌어 주는 책이 있어서 오늘 여러분과 함께 나누어 보려고 해요. 바로 책의 제목은 반비에서 출판된 신간 <우리는 출근하지 않는다>이예요.



이 책은 일과 노동에 대해서 획기적인 변화를 다루고 있어요. 저자는 다양한 회사들의 사례와 전문가들의 인터와 재택근무, 원격근무, 하이브리드 근무 등을 바탕으로 유연근무제의 실제와 잠재력에 대해서 이야기해 주고 있어요. 뿐만 아니라 저자는 유연근무제의 성공적인 적용을 위해서 지침과 아이디어를 제시해 주고 있어요. 결국 저자는 우리의 근무 환경을 ‘유연성’이라는 관점에서 노동자와 근무자 모두에게 이익으로 작용할 방법에 대해서 탐구하고 그 결과물을 통해서 번아웃과 잦은 이직 없는 일터를 만들어 보려는 몸부림 그자체예요.

 

우리는 이 책을 통해서 앞으로 맞이하게 될 직장인의 모습에 대해서 깊이 생각해 보는 좋은 기회로 삼으면 좋을 것 같아요. 이는 우리에게 거창한 담론이나 섣부른 낙관주의적인 사고를 논의하자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도움을 주기 위함이라고 생각돼요. 이런 측면의 책의 방향성은 우리에게 매우 유용한 것 같아요. 왜냐하면 우리가 앞으로 맞이하게 뉴노멀 시대에 어떤 근무 방식으로 살아가야 할지에 대해서 깊이 고민하고 한 걸음씩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기 때문이예요.

 

이와 비례하게 오늘 많은 사람들은 일과 자신의 삶의 균형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있어요. 과거와 달리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삶을 원하지 않아요. 이런 측면에서 <우리는 출근하지 않는다>은 우리의 삶을 위해서 가장 좋은 방향성에 대해서 유익한 내용인것 같아요. 실제로 우리가 모두 사무실에 보여 맡겨진 업무를 보는 게 이상적인 것도 아니고 재택근무만이 정답인 것도 아닌 것 같아요. 우리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으며 직장생활을 할 수 있다면 영화제목처럼 이보다 더 좋은 직장도 없을 거예요. 과도한 업무로 인해서 매일 번아웃의 연속에서 벗어나고 싶어하는 현대인들에게 좋은 방안을 찾아갈 수 있도록 도와줄 책을 여러분에게 추천해 드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