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가 두려운 완벽주의자를 위한 심리학 - 스스로를 과소평가하고 의심하는 당신을 위한 심리 처방
아티나 다닐로 지음, 김지아 옮김 / 시크릿하우스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녕하세요.

오늘 여러분과 함께 나눌 책은 시크릿 하우스에서 출판된 신간 <실패가 두려운 완벽주의자를 위한 심리학>이예요.​



처음 책의 제목을 보았을 때 마음이 끌리더라요. 물론 다른 분들도 이 책의 제목을 보셨다면 제 마음이 충분히 이해되실 거예요.

우리는 이 세상을 홀로 사는 존재가 아니기 때문에 누군가와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세상이라 완벽해지려고 노력해요. 실제로 세상은 우리의 사소한 실수를 너그럽게 봐주지 않아요.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더욱 완벽에 집착하려고 해요. 한 번 사람의 마음 속에 한번 형성되노 완벽함에 대한 추구는 결코 쉽게 사라지지 않고 영향을 미치더라고요.

우리가 자신감을 가지고 일해도 지치는 게 우리의 삶이잖아요. 안타깝게도 많은 사람들이 항상 불안해 하고 초조한 마음으로 살아가는 것 같아요. 실제로 우리 주변에 계신 사람의 모습을 보면 앞서 말씀해 드린 대로 불안해 하고 초조한 마음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어요. 한 예로 사람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일을 잘 해서 칭찬을 받지만 정작 사람이 사라지고 나면 스스로 또 다시 불안의 자리로 돌아가 버려요. 그들은 홀로 아직 일어나지도 않은 실패에 대해서 꿍꿍거리며 고민해요. 저자는 다른 이들의 눈에는 분명히 괜찮아 보이는데 정작 자신에 대해서 스스로 부정적인 감정을 갖고 만족하지 못하는 모습을 "가면증후군"이라고 해요.

가면증후군은 자신에 대해서 유능하지 않다고 믿는 현상으로 완벽주의, 부정적 자기 대화, 번아웃, 건강한 위험조차 회피하려는 태도, 미루기, 인간관계의 어려움, 불안감, 우울증 등 다양한 부정적 감정을 수반해요. 그들은 자신이 이룬 성과에 대해서 만족하는 기쁨을 누리지 못하고 자신의 유능함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지 않는다. 이는 우리 삶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감사하게도 저자는 우리에게 가면증후군을 극복할 수 있다고 말해요.

그렇다면 우리는 왜 아직 일어나지도 않은 일이나 상황에 대해서 불필요한 감정에 대해서 스스로 고민하며 힘들어 하는 것일까요?

과연 우리는 가면증후군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될까요?

저자는 우리에게 해결책으로 10가지 방법을 통해서 제시해 주세요.

끝으로 우리는 이제 자신을 항상 믿어야 해요. 또한 우리는 자신에 대해서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면 가면증후군도 사라지고 온전한 자신으로 보다 나은 미래를 꿈꿀 수 있을거예요. 혹시 자신의 마음 속에 불안하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이 책을 읽어보시길 바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