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탄력성 (15만부 기념 리커버) -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마음 근력의 힘
김주환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마다 동일한 힘들고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되잖아요. 그런데 사람마다 보여주는 반응이 제각각 다른 것을 보게 돼요. 그 중에서 제 눈길을 사로잡는 것은 상반된 반응이예요.

 

분명히 똑같은 상황을 직면하게 되지만 어떤 사람은 그것을 넉넉히 이겨 내는데 반해 어떤 사람은 끝도 없는 나락의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보게 돼요.


왜 동일한 상황을 서로 직면하게 되는 상반된 반응을 보여주는 것일까요?


앞서 드린 질문에 대해서 오늘 여러분에게 소개해 드리는 책은 <회복탄력성>이라고 답해요.


 


회복탄력성이란 사전적인 의미로 보면 원래 제자리로 되돌아가는 힘을 의미해요. 자신에게 닥치는 온갖 역경과 어려움을 오히려 도약의 발판으로 삼는 힘이라고 해요. 이런 측면에서 회복탄력성이 좋은 사람이 앞서 나눈 것과 같이 동일하게 어려운 상황 가운데 놓이게 되더라도 극복할 수 있는 지렛대의 역할을 하는 거예요. 이는 주로 심리학에서 시련이나 고난을 이겨내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힘을 의미할 때 사용돼요.


만약 힘들고 고통스러운 상황 가운데 놓이게 된 사람이 현실을 비관하고 아무런 노력을 하지 않는다면 그에게 더 나은 미래를 기대할 수 없을 거예요. 이와 달리 동일한 상황 가운데 놓이게 되더라도 더 나은 미래를 위해서 몸부림을 치는 사람은 다른 결과를 맺게 돼요.


그렇다면 회복탄력성의 핵심은 무엇일까요?


저자는 '소통능력'에 있다고 말해요. 다양한 개념과 이론이 존재하지만 결국 소통능력에 달려 있다고 강조해요. 소통능력은 마음 근력의 기초를 이루기 때문이예요. 이런 측면에서 생각해 보면 저자의 주장대로 소통능력을 향상시키면 강한 회복탄력성을 가질 수 있고 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긍정적 정서가 필요한 것 같아요. 결국 강력한 회복탄력성은 외부의 요인보다 원활한 내면 소통을 통해서 진정한 행복이 오는 거예요..


저자는 회복탄력성에 필요한 2가지를 주장해요. 첫째는 자기조절능력이예요. 둘째는 대인관계능력이예요. 자기조절능력은 자신을 이해하는 힘으로 자신에 대ㅎ한 이해를 바탕으로 타인을 이해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해요. 다음은 소통능력, 공감능력, 자아확장력에 근거한 대인관계능력이예요. 저자는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사회성이 뛰어나다고 말해요. 결국 스스로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있어야 자신과 타인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하고 강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어요.


현재 우리는 힘들고 너무 어려운 상황 가운데 있어요. 한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상황 속에 있어요.지금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필요한 것 가운데 하나는 바로 회복탄력성임이라고 생각해요.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