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심리학이 분노에 답하다
충페이충 / 미디어숲 / 2022년 9월
평점 :
판매중지



몇 년 전부터 우리의 일상 속에 드러나는 분노에 대한 현상들이 빈번하게 나타나는 것을 바라보며 점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감사하게도 최근에 심리학적인 측면에서 분노에 대해서 다루는 책을 읽어 볼 수 있게 되었다.

오늘 여러분과 나누어 보려고 합니다. 미디어 숲 출판사에서 출판된 신간<심리학이 분노에 답하다>이다.

저자는 우리가 분노하는 이유에 대해서 6가지 감정(심판, 기대, 자기 요구, 감정의 연결, 두려움, 사랑)을 표출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있다. 우리 안에 앞서 언급한 감정들이 북받쳐 오를 때 어떻게 대처해야 될 지 모를 때 우리 안에서 분노가 치밀어 오르는 것을 느끼게 된다. 이것을 우리는 한마디로 '화'라고 표현한다. 우리는 화라는 감정을 조절하든지 아니면 참아야 한다. 안타깝게도 그렇지 못하는 경우가 비일 비재하다. 

 



순간 우리 안에 치밀어 오는 화를 참지 못해서 상대방과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관계가 틀어지거나 중요한 일을 그릇치는 경우도 참으로 많다. 많은 사람들이 순간의 감정을 참지 못하고 자신의 판단력과 자제력이 흐려진 상태에서 행동한다. 이런 자신의 모습에 대해서 많이 실망하고 후회한다. 하지만 우리는 기억해야 한다. 우리가 누군가에게 분노하는 순간 벌어진 상황에 대해서 아무리 아쉬워하고 억울해 하더라도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결코 어느 누구도 대신 감당할 수 없다.

의외로 우리는 분노를 일시적이거나 순간적으로 느끼며 살아가는 것이다. 오히려 우리는 우리의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분노를 자주 느끼면 살아간다. 우리가 분노를 느끼게 되는 상황은 상당히 다양하다. 하지만 보편적으로 우리가 분노하는 경우는 우리 각자 세운 기준에 대해서 상대방이 미치지 못하거나 어길 때 일어나는 반응이다.

감사하게도 이 책은 우리가 느끼는 분노에 대해 심리학적인 측면에서 잘 분석해 놓았다. 우리는 저자의 설명대로 상대방에게 한만큼 되돌려받고 싶어한다. 예를 들면 우리는 지하철이나 버스 등과 같이 줄 서서 기다릴 때 누군가 남 몰래 새치를 하거나 주차장에 상대방을 배려하지 않고 무례하게 주차하는 경우 등 이 외에도 많다. 이는 하나 같이 우리의 마음에 불을 지피게 만드는 행동이고 상황들이다. 이런 상황을 늦추기 위해서 우리 각자 세운 기준을 낮춰야 한다. 자신의 기준으로 상대방을 판단하기보다는 기다리고 이해하는 여우로운 마음이 필요하다. 이런 시간이 많아진다면 이전보다 삶 속에서 분노보다 삶 자체를 즐기는 여유롭게 더 많아지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삶을 살 길 바라는 분들에게 이 책을 추천해 드리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