풋 워크 - 242억 켤레의 욕망과 그 뒤에 숨겨진 것들
탠시 E. 호스킨스 지음, 김지선 옮김 / 소소의책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여러분과 함께 신간 <풋워크>를 나누어 보려고 합니다. 처음 책의 곁표지에 249억 켤레의 신발이라는 아주 짦막하게 적혀있는 부제를 보았을 때 몇 가지 의문점이 들었습니다. 이는 2019년 한 해 동안 전세계에서 생산된 신발의 숫자이다. 매일 전세계 신발 공장에서 6660만 켤레의 신발을 생산해 내고 있습니다. 사실 평소 이 부분에 대해서 깊이 생각해 보지 못한 부분들이었습니다. 이 숫자를 보는 순간 여러 가지 질문들이 생각나기 시작했습니다.

그렇다면 많은 신발들은 어디에서 생산되어 있을까?

많은 신발들을 생산하기 위해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과연 그만한 대우를 받으며 노동하고 있을까?

오늘도 수많은 신발들이 누군가에게 생산되어 쉼 없이 팔려 나가도 있습니다. 저자는 책 머리말에서 이 과정 속에 발생하는 상호의존과 불평등에 대해서 신발이라는 소재를 통해서 독자들로 하여금 다각적인 측면으로 생각해 볼 수 있도록 구성해 놓았다고 말합니다.


누구나 처음에는 단순한 호기심으로 신발을 구입하기 시작했을 것입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점점 신발을 좋아하는 감정을 넘어서 이제는 자신에게 없으면 안 되는 존재로 바뀌게 된 사람들과 열악한 환경 속에도 자신의 노동력에 대해서 정당한 임금을 받지 못하고 노동자들이 있습니다. 오늘도 자신이 받고 누려야 할 정당한 대우를 받기는 커녕 오히려 누군가 밑빠진 독을 메꿔주기 위해서 부당하게 자신의 존재 자체를 착취당하고 있습니다. 이 둘 사이에서 부당하게 막대한 이윤을 창출하고 있는 기업들의 잘못된 관계에 대해서 담아 놓았습니다.

2020년 코로나 19로 인해서 사람들은 외출과 소비가 줄어들었습니다. 그러자 전년에 대비해서 신발의 생산력이 무려 40억 켤레가 줄어들었습니다. 이는 사람들이 얼마나 필요이상의 신발을 구입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오늘도 기업은 사람들에게 패션이라는 명목으로 새로운 신발을 구입하도록 부치기고 있습니다. 수많은 사람들은 기업들이 던진 덫을 주저 없이 덥석 물고 있습니다. 우리는 새 신발이 아니면 멀쩡한 신발도 낚은 느낌을 갔습니다. 이런 우리의 생각은 망가지지도 않았고 낡지도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유행에 뒤쳐진다는 이유만으로 멀쩡한 놔두고 또 다시 신발을 구입합니다. 지금도 기업은 우리로 하여금 과도하게 소비하도록 이끌고 있습니다.

과거 우리나라 역시 산업화시대라는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 수많은 사람들이 굶지 않고 잘 살아보고 싶다는 신념 하나로 밤낮을 가리지 않고 신발공장이라는 공간 속에 갇혀서 열심히 일만 했던 시절이 있습니다. 그리 오래된 이야기가 아닙니다. 지금의 대한민국은 그들의 헌신과 노력 위에 세워졌습니다. 이때 수많은 이들이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기보다 열악한 환경에서도 꾹꾹 참아가며 감당했었습니다. 만약 오늘날 과거와 같은 일들이 지금 벌어진다면 언론들을 통해서 자신의 권리에 대해서 작은 메아리라도 외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당시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물론 지금도 사각지대는 버젓이 존재합니다. 이런 사회적 구조는 한 사람의 노력만이 아니라 임금 제도와 환경적인 개선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 같습니다. 이외에도 저자는 자신의 책을 통해서 화려한 신발 뒤에 감추어져 있는 사람들의 그늘진 이야기들에 대해서 솔직하게 담아 놓았습니다.

마지막으로 자녀와 함께 오늘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신발이 어떤 과정을 통해서 우리에게 왔는지에 대해서 함께 나누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