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K 수줍어서 더 멋진 너에게
나디아 파이너 지음, 사라 티엘커 그림, 채효정 옮김 / 예림당 / 2022년 8월
평점 :
절판



우리는 다양한 성향을 가진 사람들과 함께 어울려 살아갑니다. 이런 관계 속에서도 우리는 다양한 성향들을 가진 사람들이 가져다주는 많은 유익함에 대해서 경험하며 살아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자신과 다른 사람에 대해서 마치 건널 수 없는 강과 같은 존재로 반응하며 살아갑니다. 이외에도 여러 가지 이유들로 인해서 우리는 상대방에게 우리 자신에 대해서 솔직하게 이야기를 하지 못합니다. 특히 우리는 자신의 부족한 점이나 연약한 부분에 대해서 더욱 이야기하지 못하는 모습을 두드러지게 보입니다.

 

사실 우리가 조그만 생각해 보면 우리의 수줍어하는 모습은 상대방에 대해서 큰 어려움이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아닙니다. 다시 말해서 상대방에게 그리 큰 문제가 전혀 되지 않습니다. 우리가 가진 여러 가지 모습 가운데 하나일 뿐입니다. 오리려 우리가 조그만 더 노력하면 더 멋진 사람으로 성장하는 좋은 계기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너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오늘은 우리의 수줍에 대해서 좋은 통찰력을 제공해 주는 책을 여러분과 함께 나누어 보려고 합니다.


오늘 여러분과 함께 나눌 책은 최근에 예림당 출판사를 통해서 출판된 신간 <수줍어서 더 멋진 너에게>입니다. 이 책은 수줍음에 대해서 전문가로부터 경험과 함께 실질적인 조언을 통해서 말해주고 있습니다. 한 마디로 이 책은 부끄러움이 많은 부모님과 자녀를 위한 책입니다.



이제 우리 함께 저자의 의도에 대해서 바르게 파악하기 위해서 먼저 책의 구성을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이 책의 구성에 대해서 자세하게 살펴보면 저자의 의도를 바르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저자는 자신의 책을 통해서 단지 수줍음의 정의와 문제점 등에 대해서 이야기하려는 것만이 아니라 우리가 수줍음을 잘 다듬어 이 전보다 더 성숙하고 멋진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큰 도움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

 


저자는 책을 수줍음과 성장이라는 두개의 큰 틀을 통해서 독자들로 하여금 문제의 원인과 진단 및 문제해결을 제시해 주고 있습니다. 저자는 독자들에게 성장 미션을 통해서 자녀들의 성장에 큰 도움받을 수 있도록 쉬운 과제부터 한 걸음씩 올라갈 수 있도록 방법을 제시해 주고 있습니다.

 

이제 저자가 자신의 저서를 통해서 보다 더 구체적으로 우리에게 전하려는 가르침에 대해서 여러분과 함께 나누어 보고자 합니다.

 

먼저 저자는 우리에게 수줍음의 의미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수줍음이란 마음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감정들 가운데 하나라고 말해주고 있습니다. 우리는 자신의 수줍어하는 개인적인 성향에 따라서 다른 사람들이 자신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할 지에 대해서 지나치게 신경을 씁니다. 그러다보니까 자연스럽게 걱정이 다른 사람들보다 더 많아지게 되는 것 같습니다. 이런 자신의 모습에 대해서 스스로 부끄럽게 생각할 뿐만 아니라 덩달아 긴장감도 함께 상승하게 됩니다. 아무래도 상대방의 눈에 비친 자신의 모습은 남들보다 무엇인가 크게 부족해 보이고 연약해 보이는 것이 너무 싫은 것 같습니다. 결국 우리는 자신의 감정과 모습과 생각 등에 대해서 다른 사람들에게 솔직하게 말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과 관계도 더불어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설렁 수줍어하는 이들이 우리에게 그런한 모습을 보여주더라도 그들에 대해서 오해하지 말아야 합니다. 즉 누군가가 수줍음을 타는 모습 자체가 결코 나쁜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사실입니다. 다만 수줍어하는 이들은 다른 이들보다 더 수줍어 하기 때문에 스스로 많은 부분에서 큰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그들을 격려하고 위로해 주어야 합니다.

 

다른 이들보다 수줍이 많은 이들이 한 단계 성장하기 위해서 자신의 성향을 있는 그대로 인정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합니다. 만약 우리가 다른 이들보다 더 많이 수줍어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을지라도 자신의 감정에 대해서 결코 숨기지 말아야 합니다. 도리어 상대방에게 자신에 대해서 있는 그대로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는 자신이 어딘가 부족하고 연약해서 아니라 오히려 용기 있는 행동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이 사실에 대해서 결코 잊지 말아야 합니다. 설렁 그들이 지금 당장 바뀌지 않을지라도 이제는 자신의 성향에 대해서 더 이상 부끄러워하거나 두려워하지 말아야 합니다. 오히려 그들은 자신에 대해서 솔직하고 당당하게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 자신의 수줍음에 대해서 만반의 준비를 해야 합니다. 비록 빠른 변화가 우리 안에 일어나지 않더라도 꾸준히 노력해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앞서 제가 잠깐 언급했듯이 수줍음은 지극히 정상적인 성향인 것입니다. 사실 수줍어하는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이지 모든 사람들이 다 가지고 있는 수많은 감정들 가운데 한 가지일 뿐입니다. 이제 수줍음에 대한 오해를 과감하게 내려놓아야 합니다. 모든 사람들은 저마다 다양한 성향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줍음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수많은 성향들 가운데 한 부분일 뿐이다. 이는 그 이상도 아니고 이하도 아닌 것입니다.

이제는 우리가 자신과 다른 사람의 감정에 대해서 필요 이상으로 관심을 가지고 상대방에 대해서 함부로 이야기를 하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에게 주어진 감정들에 대해서 하나씩 발견하고 인정하며 살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는 이 과정을 통해서 우리 자신에 대해서 이전보다 더 바르게 알아갈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너무 중요합니다.

 

우리는 자신의 성향에 대해서 사랑해야 합니다. 자신의 성향에 대해서 오해하는 자녀에게 읽혀주면 너무 좋을 것 같아요. 마지막으로 수줍음을 많이 타는 자녀를 두신 부모에게 이 책을 추천해 드리고 싶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