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아도 되는 아이는 없다 - 어른 손에 스러진 아이들, 어느 아동학대 피해자의 고백
김지은 지음 / 슬로디미디어 / 202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사회적으로 문제 가운데 하나가 아동학대인 것 같습니다. 최근에 슬로미디어 출판사에서 출판된 김지은 작가의 책<맞아도 되는 아이는 없다>에 대해서 나누어 보고자 합니다. 저자는 자신의 책을 통해서 피해자인 동시에 가해자의 가족의 입장으로 여전히 우리 주위에서 일어나고 있는 아동학대의 심각성에 대해서 솔직하게 담아놓았습니다.


우리가 입버릇처럼 쓰는 표현들 가운데 하나가 미운 세 살과 네 살, 미친 다섯 살입니다. 사실 우리의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귀한 자녀들에게 차마 입에 담기도불편한 표현들을 붙이고 있습니다.




우리 자녀들은 3세부터 5세 때가 되면 정서적으로 가장 발달하는 시기입니다. 이때 자녀들은 부모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고 정서적인 안정감을 느껴야 합니다. 한편 자녀들은 이 시기에 자신의 생각과 주장을 어떻게 해야 되는지에 대해서 한참 배우고 실천하는 시기입니다. 이때 부모와 사소한 말다툼으로 감정과 분위기가 격해주는 아주 시기이기도 합니다.


이 책을 보면서 한 가지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동학대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교사를 통해서 일어나기도 합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실제로 아동학대가 가장 많이 일어나는 곳은 가정이라는 사실입니다. 즉 아동학대는 부모로부터 가장 많이 일어납니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상황들과 이유들이 있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자녀를 인격적으로 대하는 않는 것입니다. 즉 자신의 소유물 정도로 여긴다는 점입니다. 부모에게 어떤 어려움과 힘들이 발생하게 될지라도 부모에게 맞아도 되는 아이는 아무도 없습니다. 지금이라도 부모와 어른들과 사회적인 관심과 제도를 보완하기 위해서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그동안 우리사회는 다른 사람의 가정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서 무관심해 했습니다. 이제부터라도 자녀들이 바르게 자라날 수 있도록 많은 부모님들과 어른들의 관심과 사회적인 제도가 시급하게 마련되어야 합니다.


한참 사랑을 많이 받으며 자라나야 할 시기에 지금과 같이 계속해서 자녀들이 부정적인 감정과 폭력적인 상황 속에서 자라나게 된다면 그들의 아픔과 고통은 또 다른 이들의 아픔과 상처으로 대물림하는 상황들이 지금보다 더욱 증가하게 될 것입니다.


아동학대를 실제로 경험한 피해자는 평생 고통 가운데 살아갑니다. 이는 우리가 상상하는 것 그 이상일 것입니다. 이런 아동학대는 누군가 막아주기 전까지 작고 어린 자녀들은 가해자로부터 무차별적인 계속해서 당할 수밖에 없습니다. 안타깝게도 많은 부모님들이 자녀에게 행하는 행동에 대해서 ‘사랑의 훈육’이라고 착각합니다.


그렇다면 학대와 훈육의 가장 큰 차이점이 무엇일까?


바로 부모의 감정 조절이다. 부모가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면 자녀에게 조근조근하게 차분하게 설명해 줄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훈육입니다. 그런데 부모가 스스로 화를 주체할 수 없는 상태가 되면 이때부터 바로 학대가 시작됩니다. 훈육은 부모가 자녀의 ‘잘못된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올바른 행동을 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해 줍니다. 하지만 학대는 ‘잘못된 아이’에게 초점을 맞추어 자녀에게 큰 고통과 상처라는 실타래에 스스로 얽매이게 만듭니다.


<맞아도 되는 아이는 없다>은 아동학대의 현 주소와 앞으로 우리 사회가 가야 할 길에 대해서 너무나 많은 것들을 생각하게 만들어 주는 책입니다. 지금 뿐만 아니라 앞으로 부모가 되실 분에게 이 책을 추천해 드리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