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페스트 (컬러 명화 수록 무삭제 완역본) - 명화와 함께 읽는 ㅣ 현대지성 클래식 63
알베르 카뮈 지음, 유기환 옮김 / 현대지성 / 2025년 4월
평점 :
컬처블룸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페스트》 알베르 카뮈 – 전염병 속에서도 빛나는 인간성
우리가 코로나19를 겪으며 가장 많이 회자된 고전 중 하나가 바로 알베르 카뮈의 《페스트》입니다.
1947년에 발표된 이 작품은 20세기 중반의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21세기 팬데믹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놀라운 통찰을 안겨줍니다.
‘전염병’이라는 소재를 통해 인간의 본성과 공동체, 연대와 희망을 말하고 있기 때문이죠.
줄거리 한눈에 보기
이야기의 배경은 북아프리카의 알제리 오랑이라는 가상의 도시입니다.
어느 날, 죽은 쥐들이 거리 곳곳에서 발견되며 이상한 조짐이 감지됩니다.
곧이어 정체불명의 전염병이 퍼지기 시작하고, 도시는 폐쇄됩니다.
밖으로 나갈 수 없고, 안으로 들어올 수도 없는 고립된 상태 속에서 사람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이 상황을 받아들이고, 버티고, 행동합니다.
주인공은 의사 ‘리외’입니다.
그는 환자를 돌보는 일을 묵묵히 해나가며, 인간적인 태도와 연민을 잃지 않습니다.
그리고 그 옆에는 기자 랑베르, 성직자 파늘루, 자원봉사자 타루, 시청 직원 그랑 같은 인물들이 등장합니다.
이들은 모두 서로 다른 가치관과 삶의 태도를 지니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무력함 속에서도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는 사람들’입니다.
《페스트》는 단순한 질병 소설이 아니다
표면적으로는 전염병 소설이지만, 《페스트》는 더 깊은 상징을 담고 있습니다.
카뮈는 이 작품을 통해 인간의 부조리한 운명, 고통, 죽음, 그리고 그 속에서도 빛나는 인간성에 대해 말합니다. 전염병은 단지 도구일 뿐, 그 안에 담긴 메시지는 “어떤 상황 속에서도 우리는 인간답게 살아야 한다”는 것이죠.
특히 주목할 점은 이 소설이 당시 프랑스의 ‘나치 점령’과 ‘레지스탕스’ 활동을 상징적으로 표현했다는 점입니다.
도시가 전염병으로 봉쇄되고, 시민들이 저항하고 연대하는 모습은 현실의 정치적 상황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다시 읽는 《페스트》
《페스트》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세계적으로 다시 베스트셀러에 오르며 재조명되었습니다.
고립과 공포, 사람들 간의 거리 두기, 불신과 혐오, 그리고 끝내 다가오는 일상의 회복까지—우리가 실제로 겪은 상황과 이 소설의 전개가 놀랍도록 닮아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 책을 읽다 보면, “나 하나쯤이야”라는 생각보다는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작은 행동이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됩니다.
무기력해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도 ‘선택’하고 ‘책임’지는 인간의 모습을 카뮈는 깊이 있게 보여줍니다.
책의 특징 – 읽기 쉬운 구성과 시각적 재미까지
이번에 소개하는 《페스트》는 특히나 읽기 편한 구성과 시각적 즐거움까지 더해져 있어요.
알기 쉬운 번역으로 카뮈 특유의 간결하면서도 철학적인 문장이 살아 있고, 클림트, 뭉크, 고흐 등의 명화 15점이 수록되어 있어 감상하는 재미도 있어요.
작가 해제와 작품 해설도 꼼꼼히 들어 있어, 고전 읽기에 어려움을 느꼈던 분들도 부담 없이 접근할 수 있습니다.
등장인물 소개 – 평범하지만 특별한 사람들
리외: 묵묵히 자기 일을 하는 의사.
이성적이고 책임감 있는 인물입니다.
타루: 페스트 방역 자원봉사대를 조직하며 공동체를 위해 헌신하는 철학적 인물.
랑베르: 처음에는 도망치려 했지만 결국 오랑에 남기로 결심한 기자.
파늘루: 신앙과 현실 사이에서 갈등하는 성직자.
그랑: 말수 적고 소심하지만 성실한 시청 공무원.
아주 평범한 시민이지만 진심 어린 행동을 보여줍니다.
이들은 모두 우리가 현실에서 만날 수 있을 법한 사람들입니다.
특별하지 않지만, 그래서 더 공감 가는 인물들입니다.
《페스트》는 어떤 사람에게 어울릴까?
고전을 가볍게 읽고 싶은 분
철학적 메시지를 일상적인 이야기로 접하고 싶은 분
팬데믹을 지나며 삶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고 싶은 분
어려운 철학책, 고리타분한 고전이라는 편견은 이제 그만! 《페스트》는 우리 모두의 이야기입니다.
“혼자만의 행복은 부끄러울 수 있다”는 말이 이 책에서 가장 마음에 남는 구절 중 하나였습니다.
이 책은 끝이 없는 고통 속에서도 함께 손잡고 살아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려줍니다.
팬데믹 이후의 세상에서, 이 책은 우리가 무엇을 잊지 말아야 할지를 조용히 이야기해 줍니다.
지금, 여러분도 이 책 한 권으로 따뜻한 연대의 감정을 다시 느껴보는 건 어떨까요?
#컬처블룸리뷰단 #컬처블룸 #페스트 #알베르카뮈 #현대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