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고리우스가 오리게네스를 스승으로 모셨던 흥미로운 이야기 한 토막,
˝스승의 모범, 우정의 끈, 소통과 실천˝
˝처음 제자는 스승의 가르침(자신을 바꾸려는)이 화살처럼 찔려서 저항하고 주저했다.
대신 `논쟁과 지적 토론을` 원했다.
하지만 스승은, `똑똑함과 말재주` 이상의 것을 기대했고, 그의 목적은 `제자의 영혼을 감동시키는 것`이었다.
마음을 열고 `선으로 의지가 형성되게 하라`고 도전했다.
두 사람은 일상적인 인간관계 이상의 친교(신뢰 관계가 되기 위한 부단한 노력이 있었을거라 추측된다)를 통해 말씀이신 그리스도를 사랑하는 법을 나누었다.
스승인 오리게네스를 `말씀의 친구요 해석자`라 부르며 진한 우정의 관계로까지 발전할 수 있었다.
오리게네스는 자신의 행동으로 제자들을 가르쳤다. 제자들이 자신의 `성품을 통제할 수 있도록` 도우면서, 말보다 행동으로 더 많은 것을 가르쳤다.
스승은 제자들을 교화하기 전에 그들을 알고 사랑해야 한다.
스승은 제자들의 습관, 태도, 욕망을 알아야 한다.
그들을 교정하고 꾸짖고 권면하고 용기를 북돋기 위해서다.
가장 내적인 것을 깊이 파고 검토함으로써, 질문하고 생각을 서술하고 그들의 반응에 주목함으로써 과제를 수행하도록 도왔다.
무엇보다 자기의 영혼에 주목할 것과 성품을 형성하고 통제되지 않는 열정을 진정시키는 덕스러운 삶의 요소를 놓치지 않도록 격려했다.
`거룩한 덕`은, 신중, 정의, 용기, 절제요, 거기에 모든 덕의 어머니인 `경건`을 덧붙였다. 덕은 오직 하나님이 자신의 권능을 불어넣는 사람 안에서만 성취될 수 있다.˝(297-302, 기독교 사상의 정신)
ᆢ
사제간의 사랑과 교제를 보면서, 좋은 친구, 믿음의 동역자, 목사와 성도, 평생동반자로서의 부부(파트너) 간의 관계들을 생각하며 소망한다.
단지 교육하거나 정보만 제공하는 아니라, 영혼의 성장을 위해 서로 존중하고 소중하게 여기며 사랑하고 협력하는 마음이 최우선임을 되새긴다.
그럴 때, 각 사람의 기술과 관심을 교정하고 교육하고 권면하는 것이 인격적이며 순서다.
#믿음의 #동역자 #매일 #기도해 #황홀한 #선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