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모 비룡소 걸작선 13
미하엘 엔데 지음, 한미희 옮김 / 비룡소 / 1999년 2월
평점 :
품절


돌이켜 생각해보면 [모모]는 내가 가장 먼저 접한 판타지 소설이 아닐까 싶다. 정말이지, 상상력은 시대의 한계에 얽매이지 않는다. 통신문학이라는 것의 탄생에 의해 양적으로 엄청나게 증가한 일본, 한국의 판타지소설계 전체를 통틀어도 이 정도의 상상력으로 빛나는 작품이 또 있을까. 회색 담배에서 회색 연기를 내뿜으며 시간을 잠식해사는 회색 인간들과 세상 그 무엇보다 아름다운 시간의 꽃을 지키기 위한 싸움... 동화와 하드보일드와 현대물과 타임패러독스까지 줄줄이 담아넣은 상상력은 멋지다고밖에 말할 수 없다.
그리고 모모와 회색 인간들의 싸움은 어떤 거대한 괴물과 싸우는 용사의 전투보다도 화려하다. 칼과 마법이 난무하는 싸움이 아니라 서로의 이야기로 서로를 설득하는 싸움. 삼국지 시절의 논객들을 방불케 하는 회색 인간들의 설득력을 오로지 들어 주는 것으로 대응하는 모모의 역습은 판타지의 싸움이라면 이쯤 돼야지, 하는 감상을 선사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악의 조직원 말단 A를 멋지게 때려눕힌 모모에 대해 최초로 나타난 정의의 용사를 향해 최대 전력을 동원해 뭉개버리는 회색 인간들의 재공격 역시 마왕의 이름에 부끄럽지 않다. 직접 공격이 통하지 않는다면 간접 공격으로, 일단 세계를 정복한 다음 친구와 이야기 상대를 빼앗아가고 권력을 동원한 공격, 그리고 친구들의 도움으로 그것을 피해 세상의 끝으로 달아나, 신비한 현자를 만난 끝에 얻는 위대한 무구. 정말, "판타지라면 이 쯤은 되야지."
그리고 그 모든 것들보다도 멋진 것은 모모 그 자신이다. 그 누구보다 순수한 어린아이이면서도 '타인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존재로서의 능력은 가장 일상적이면서도 가장 환상적인 존재로서의 능력에 값한다. 어린 시절 [모모]를 처음 읽었을 때는 미처 깨닫지 못했었지만, 그 ‹š 모모의 그 능력을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었더라면, 나도 훨씬 더 괜찮은 사람이 되지 않았을까. 지금 생각하면 그게 얼마나 아쉬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