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력의 임무 ㅣ 그리폰 북스 8
할 클레멘트 지음, 안정희 옮김 / 시공사 / 199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하드SF작가는 무조건 남자라고 한다. 글 쓰면서 과학숙제를 할 인간이 세상에 두 명 씩이나 있을 리가 없는데, 그 한 명이 남자기 때문이다.
불행히도 주인공이 길이 40cm, 폭 5cm의 절지류 생물이기에 에로씬은 기대할 수 없지만, 지성을 갖춘 2차원 세계의 생물을 주인공으로 하여 특수한 세계관을 구성한 뒤 그 안에서 철저하게 과학적 이론에 따라 전개되는 사건은 얼마 전 <별의 계승자> 이후 가장 만족스러운 독서 감상이었다. 아니, 그게 아니다. 주인공이 저런 게 아니라, 세계가 이상한 거다.
중력이 지구의 700배인 행성이 무대니 말이다.
거기다 더 골때리는 것은, 이 행성의 자전속도가 대략 17분에 1회전이라는 점이다. 덕분에 발생한 원심력으로 인해 적도 부근에서의 중력은 3G. 그리고 당연하지만, 이 행성은 적도안경이 극점반경의 두 배가 넘는다--;; 여기에 원심력으로 튕겨나간 구성물질들이 주변에 두툼한(?) 고리도 생기는데, 이걸 포함하여 저자가 만든 모형은 두께 6.4cm에 지름 15cm, 여기에 지름 36cm짜리 종이 디스크가 끼워진 형태라고 한다. 저자는 원래 제목을 '하늘의 팬케이크'로 지으려고 했지만 아이작 아시모프(...)에게 폭력으로 저지당했다던가.
하긴 아시모프 공이 제목 센스는 별로지.(응?)
이 행성의 고중력 지대에서 진화해 온 생물의 일원인 주인공은 모험심 넘치는 탐험무역선의 선장으로, '땅 끝 너머'라 할 만한 곳- 저중력 지역까지 거래 상품을 찾아 내려온 끝에 지구 인류와 접촉한다. 그들과는 전혀 다른 3차원적이고 극도로 발전한 과학력을 지닌 <플라이어>들은 심각한 문제에 봉착해 있었는데, 고중력 지역에 내려놓은 탐지장비가 날아오르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그 장비의 가격은 대략 20억 달러. 장비 회수는 포기하더라도 그것이 수집한 자료만은 되찾고 싶다. 그러나 700G의 중력권으로 내려가 그것을 회수할 수 있는 수단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모험소설 시작.
정말 즐거웠다. 얼마나 즐거웠는지, 결국 저녁을 걸렀다(누가 나 좀 말려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