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세 끼가 내 몸을 망친다
이시하라 유미 지음, 황미숙 옮김 / 살림Life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예전부터 자주 듣고 자란 한마디 말에 딴지를 거는 책 한권을 읽게 되었다.

<하루 세 끼가 내 몸을 망친다>?

그동안 세 끼를 잘 챙겨 먹는 것이 건강의 지름길이라고 믿고 남편과 아이들에게

도 아침,점심,저녁 세 끼를 꼭꼭 챙겨 먹이려고 노력 했었다.

하지만 이 책의 제목을 읽는 순간 깜짝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당장 읽어 보지 않으면 궁금증을 참을 수 없어 바로 읽어 내려 갔다.

 

포만감을 줄 때 까지 음식을 먹는 것은 독이고 소식이 좋다는 말은 예전부터

들어 왔지만 배고픔이 면연력을 증강시켜 병을 예방하고 낫게 해준다는 귀한

말은 이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먹는 양을 반으로 줄이면, 누구나 100세까지 건강하게 살 수 있다니

오래사는 것보다 건강하게 사는 것이 좋지 않은가?

그래서 저자가 주장하는 말을 잘 읽어보고 따라 해 보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그런데....

하루 한 끼만 먹고 살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엄청난 체력을 요구하는 의사와 프로복서도 하루 한 끼만 먹고도 건강하다니

나도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용기를 갖게 된다.^^

그리고 억지로 먹는 아침식사가 건강을 해친다는데

그동안 아이들에게 아침밥은 꼭 먹어야 한다며 억지로 뭐라도 먹이려고

했던 나의 모습을 되돌아 보며 아침 밥에 대한 인식을 다시 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공복감의 바른 의미와 면역력을 높이기 위한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바로 알 수 있는 시간이었다.

 

그리고 소식의 효능을 동양의학으로 살펴보고 저자가 자세히 설명해주는

단식요법과 끼니를 거르는 요령을 잘 배웠으니 지금까지 세 끼를 꼬박꼬박

챙겨먹던 나이었기에 갑자기 한 끼만 먹는 다면 몸에 무리가 올 것 같으니

오늘부터 하루에 한 끼씩 거르는 습관을 잘 연습해 봐야 겠다.

바로 공복이 주는 편안함을 온몸으로 느껴보고 싶다.

직접 체험한 수기들을 읽으며 소식이 몸에 좋으며 구체적으로 소식을 실천하는

방법을 배울수 있어서 즐거웠고 건강을 유지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어서

유익한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