뽕나무 프로젝트
린다 수 박 지음, 최인자 옮김, 오승민 그림 / 서울문화사 / 2007년 7월
평점 :
품절



 

주인공인  줄리아는 태어나면서부터 미국에서 자라 사고 방식과 언어는 거의 미국인이다.  

그러나  줄리아네 집은 쿰쿰한 냄새를 풍기는 김치 없이는 못사는 한국인의 가정 이기도 하다.

하지만 줄이아는 김치가 싫다.  김치 냄새 때문에 친구들이 줄리아네 집에서 놀길 꺼려하기 때문에..... 

엄마는 한국 사람이 어떻게 김치를 싫어하냐며 DNA 검사를 해 보아야 한다고 말씀하신다.

줄리아의 친구 패트릭은 "냄새 끝내 주는데!"할 정도록 김치를 좋아한다.

 

어느날 줄리아와 패트릭은 위글 클럽에 가입하고 주 박람회에 출품할 과제를 고민하던중

줄리아 엄마의 권유로 누에 키우기에 도전하게 된다.

패크릭은 아주 독특하다며 좋아하지만 줄리아는 미국스럽지 못하고  너무나 한국적인 과제라고 싫어 한다.

‘누에 키우기’를 싫어하는 줄리아와 시작부터 ‘누에 키우기’에 굉장한 흥미를 느낀 패트릭은 

 함께 누에의 먹이인 뽕잎을 구하는 단계에서부터 난관에 부딪히게 되고  키우는 과정도 결코 쉽지는 않지만  

 그 때마다 화해하기도 하고 서로 위로하기도 하는 모습은 읽는 이에게 잔잔한 감동을 주기도 한다.

하지만 뽕나무를 가지고 있는 흑인 딕슨 아저씨와 줄리아가 가까워질 까봐 염려 하는 엄마의 모습에서

인종차별주의자의 모습을 발견하게 되지만 서로 이해하는 법까지 터득하게 된다.

다른 나라, 다른 문화에 대해서 편견을 가지지 말아야 한다는 교훈도 준다.  

 

이 책의 가장 특이한 부분은 총 16장으로 이루어진 이 책의 매 장 이야기 끝에는 작가 린다 수 박에게

 이 책의 주인공인 줄리아가 말을 걸어 오고 린다 수 박과 함께 대화를 한다는 것이다.

 

뽕나무 프로젝트를 통해 누에에 대한 모든 지식까지 얻을 수 있다.

애벌레가 고치를 칠 준비를 할때부터 먹이를 더이상 먹지 않고,쉬지 않고 머리를 빠르게 이따금 느리게,

잠시도 쉬지 않고 열심히 일을 한다.

그리고 고치에서 비단실을 얻으려면 고치를 물에 5분 정도 삶아내면 고치 하나에서 비단실이 약 1마일 (약 1.609Km)

이나 나온다고 한다. 그러나 고치를 삶지 않고 그대로 두면 마침내 눈만 검고 온통 하얀색의 나방이 나온다.

며칠후, 나방들은 짝짓기를 하고 알을 낳고  결국은 죽는다.

누에가 알에서 - 애벌레로 - 번데기로 변하고 일부는 나방으로 일부는 비단실로 되는 과정이

 여러 가지 에피소드와 함께 재미 있게 이어진다.
이런 과학적인 정보 외에도 생명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게도 한다.

 

박람회에 출품한 뽕나무 프로젝트는 2등을 차지하고,뽑아낸 비단실로 수를 놓은 것은 독창적인 작품에 주는

특별상을 받는다.

 

 남들과 다른 독특하고 독창성 있고 과제로  정성을 들여  과제를 착착 진행해 가는 과정을 읽으면서

 결과만을 중시하는 우리 나라 초등학교 평가와 판이하게 다르다는 것을 느꼈다.

우리도 이러한 교육으로 바뀌었으면 하는 바램을 해본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rhdwhdgus 2008-02-23 09: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wmftlqkfsusdlqtdksnrkgks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