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가계부 부자들 - 서툰 재테크는 부채만 남긴다 당신의 재무주치의 1
제윤경 지음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한국경제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경제적위기를 맞고 있다.
특히 우리 나라는 몇해전 부터 재테크 열풍과 TV드라마를 통해 부자 만들기 열풍이
불었었다.
하지만 현재 재테크에 투자했던 사람들은 여기 저기서 손실을 겪고 있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
이번에 읽게 된 <한국의 가계부 부자들>의 저자는 이렇게 조언하고 있다.
경제가 어려울수록 재테크에 대한 환상을 버려야 한다고,
그리고 가계부를 써서 효율적으로 돈을 쓰고 관리해야 한다고....
 
서툰 재테크는 부채만 남길 뿐 가정경제에 아무런 소득이 없음을 이 책을 통해 다시한번
깨닫는다.
몇권의 재테크 투자 관련  책을 읽었엇다.
성공사례와 실패 사례들을 읽으면서 두려움이 먼저 앞선다.
남들처럼 재테크 정보에 밝지도 못하고 적극적으로 투자할 용기도 없어서
아직까지 그 흔한 부동산 투자나 펀드나 주식같은 재테크에 투자해 본 경험이 없다.
오직 은행에 저금 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이라고 생각하는 평범한 주부 이다.
아니 시대에 뒤 떨어진 구식 아줌마 일지도 모른다.
 
전업 주부로 살다 보니 누가 어디에 투자해서 얼마를 벌었구 얼마를 손해 봤다는
정보는 남편을 통해서만 듣는 편이다.
남편 친구 부인은 재태크에 밝아서 몇년 전에 사둔 아파트로 현재 2억이라는 큰 이익을
봤다는 이야기를 듣고 내심 부럽기도 했지만 남편에게 미안한 마음도 들었던 적이 있다.
남편이 벌어다 준 돈으로 절약하며 알뜰하게 살림사는 것이 나의 본분인양 살아온 나는
점점 늘어나는  아이들 교육비와 물가 상승으로 인해 생활비 부담이 더해 가는 이때에
나도 적극적으로 돈 되는 무엇인가를 해보고 싶은 마음이 든다.
지금 나의 처해 있는 환경에서 안정적이고 가정경제에 보탬이 될 수 있는 방법을 이책을
통해 깨닫게 되었다.
 
결혼과 함께 시작된 가계부 기록은 불과 10년을 넘기지 못하고 귀찮다는 이유로
쓰지않고 있었는데 이 책에 담긴 수기들을 읽다가 가계부를 다시 써야 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돈의 양과 행복은 비례하지 않으며 돈에 대한 마음과 태도에 따라 행복을 결정한다는
저자의 말에 공감하며 부자에 대한 막연한 환상을 버리고 현실을 제대로 보고 우리 가정에
가장 효과적인 재무설계가 어떤 것인지, 또한 미래를 계획하며 부를 설계하는 것이
얼마만큼 중요한지 다시금 생각하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