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가족, 태양계 탐험을 떠나다 - 알면 알수록 신비로운 태양계 이야기 토토 과학상자 9
김지현 지음, 김주경 그림 / 토토북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정말 멋진 우주선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우주선 지구호'는 초등학생 이상이면  배워서 알고 있듯이 하루에 한번 스스로

태양 주위를 돌면서 밤과 낮의 아름답고 신비로운 하늘을 선사해 주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봄,여름,가을,겨울이 투렸해서 계절별로 볼수 있는 별자리가

있다는 것도 알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태양계에 있는 수많은 별들에 대한 지식은

많이 부족했었다. 이 번에 읽게된< 별가족 태양계 탐험을 떠나다>는 태양과 행성,

혜성, 소행성,별똥별등을  아빠,엄마, 재범이, 솔이 이렇게 네 명의 별가족과 함께

신비로운 태양계 이야기를 나누면서  하나하나 비밀을 풀어 가준다.

정말  신비로운 태양계 탐험을 할 수 있었다.

책표지부터 색연필과 물감을 같이 사용하여 그려진 그림들이 예쁘고 마음에

쏙들었다. 책 안에서 만나는 그림들과 실제 사진들 또한 아이들에게 흥미를 더 하여

주었다. 특히 각 주제별로 탐험을 마치면 재범이의 그림일기가 소개 되는데

그림읽기속의  익살스러운 그림들과 내용또한 재미를 선사해 주었다.

 

 

태양계에는 수성,금성,지구,화성,목성,토성,천왕성,해성,명왕성 이렇게 9개의 행성

이 있다고  외웠고 지금까지 그렇게 알고 있었는데 2006년 8월 24일부터 명왕성은

더이상 행성이 아니라는 결정이  내려 졌다고 한다. 이 책을 통해 새롭게

알게된 사실이었다. 초등학교 6학년인 큰아이에게 그 사실을 알려 주었더니

벌써 학교에서 배웠다고 한다. 학부모 여러분 기억하세요.

명왕성은 더이상 행성이 아니랍니다. 아이들이 이미 새로운 정보로 배우고 있으니

우리 어른들은 꼭 기억해 두어야 하겠다.

 

중학생 과정에서나 배울 수 있는 내용들도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너무도 이해하기

쉽고 재미 있게 설명해 주고 있어서 이 책을 읽으면서 '참 좋은 선택을 했구나 '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언젠가 아이가 지구는 둥글게 생겼는데 그 안에는

무엇이 있는가 하는 질문을 했던 기억이 났다.

중학교 과정에서 배우긴 했던것 같은데 아이에게 대답해 줄수가 없어서 막막해 했었다.

이 책에서 엄마가 사과를 지구라고 상상하면서 쉽게 아이들에게 설명하는 부분은

너무도 마음에 들었다. 사과 껍질은 우리가 밟고 있는 땅(지각)이라하고

사과를 반으로 쪼개면 나오는 사과 속살을 맨틀,사과 씨는 핵이라 설명 해주고 있다.

그 씨를 둘러싼 부분은 또 내핵과 외핵으로 나누어 진다는 내용까지.....

어려운 내용을 너무도 쉽게 설명을 해주니 재범이도 그림일기에 '사과와 지구가 같대요'

라는 제목으로 일기를 쓰기도 한다. 재범이는 미래의 우주 과학자 이다.

 

인공위성에서 찍은 8가지 행성들의 실제사진과 그 행성들의 특이한 지형사진까지,

그리고 별동별같은 다양한 자료들까지.... 풍부한 자료들이 있어서 책읽는 재미를

더해 주는 것 같다.

개밥바라기, 샛별, 태백성 이것은 금성의 또다른 이름들이다.

그리고 별똥별의 색은 떨어지는 속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빨리 떨어지는 별똥별은 파란색, 조금 느리게 떨어지는 것은 노랗거나 붉은색이라고 한다.

별똥별을 관찰하려면 북극성을 마주 보고 서서 양팔을 벌렸을때

오른손 방향은 동쪽, 왼손 방향는 서쪽, 뒤통수는 남쪽이므로 동쪽 하늘을 바라보면 된다.

도심과 달리 이곳엔 산도 많고 조금만 차타고 가면 외진 곳도 있기에

한번 아이들과 함께 근처 산에 가서 별똥별을 관찰 해 봐야 겠다.

아이들과 함게 신비롭고 재미 있는 태양계 탐험을 한것 같아 즐거운 책읽기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