쉼표를 쓰지 않으면 의도와는 다른 표현이 될 수 있으므로이런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쉼표를 활용하면 됩니다. 그런데 문장부호 쓰임을 잘 몰라서인지, 쓰기를 꺼려서인지 문장부호 활용도가 낮은 것 같습니다. 쉼표는 그래도 쓰는데, 작은따옴표쓰기는 주저하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문장부호는 글에서 문장의 구조를 잘 드러내거나 글쓴이의 의도를 쉽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라고 만들어 놓은 도구입니다. 중의성 없이 간결하고 분명한 문장으로 표현하는 데에 문장부호를 적극 활용해 보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만 ‘너무‘를 긍정 문맥에 쓰기가 여전히 어색하거나 ‘너무‘가 지나치게 많이 쓰여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때는 ‘너무‘는 예전과 같이 부정 문맥에서 쓰고, 긍정 문맥에는 ‘정말‘, ‘참‘, ‘진짜‘ 등을 쓰면 됩니다. ‘나무가 정말 크구나!‘,
‘옷이 너무 커서 못입겠다‘와 같이 구별해서 쓰는 것입니다. 다음 용례들도 그대로 표현해도 되지만 첫 번째에는 ‘정말‘, ‘참‘,
‘진짜‘ 등을 쓰고, 두 번째에는 ‘너무‘를 쓰는 방식으로 구별하여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펄롱이 바닥에서 쓸어 담은 먼지, 흙, 호랑가시나무 잎,
솔잎을 스토브에 쏟아붓자 불이 확 타오르며 타다닥 소리를 냈다. 방이 사방에서 조여드는 느낌이었다. 뜻 모를 무늬가 반복되는 벽지가 눈앞으로 다가오는 것 같았다. 달아나고 싶은 충동이 펄롱을 사로잡았고 펄롱은 홀로 낡은 옷을 입고 어두운 들판 위로 걸어가는 상상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엇이든 털어놓는 사이가꼭 좋은 관계인 건 아니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료 및 선배 작가들에 대한 막말이라면 블라디미르 나보코프도 김수영에 뒤지지 않는다. 그는 1967년 《파리 리뷰》와의 인터뷰에서 "남들이 인정하는 많은 작가들이 내게는 아예존재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브레히트, 포크너, 카뮈,
로런스 등을 거명했다. 토마스 만, 파스테르나크, 도스토옙스키, 고골 역시 혹평을 면하지 못했다. 나보코프가 보기에 "엘리어트는 1급 시인이 아니었고, 에즈라 파운드는 단연 2급이었으며, "종, 불알, 황소bells, balls and bulls 같은 것"을 다룬 헤밍웨이의 소설은 "아예 질색"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