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세기의 셔츠
얀 마텔 지음, 강주헌 옮김 / 작가정신 / 201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20세기의 셔츠"라는 제목만으로도 읽어보고 싶은 유혹이 생길만한 책인데, 거기다가 "파이이야기"로 잘 알려진 작가인 얀마텔의 작품이라 더 눈길을 끌었다. 아직 파이이야기를 읽지 않은 초보 독자에게도 눈길을 끌만한 작품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셔츠가 어디에나 있듯이, 홀로코스트는 어디에나 있다!"
홀로코스트가 인간이나 동물을 대량으로 태워 죽이거나 대량으로 학살하는 행위를 말한다는 것을 검색으로 알게 되자, 유대인들을 알몸으로 가두고 대량학살을 감행했던 역사의 한 부분이 떠오르면서 셔츠가 어디에나 있는 것 처럼 홀로코스트 또한 어디에나 있다는게 무슨 뜻일지 생각해보았다. 우리의 역사속에서도 홀로코스트는 있겠지 하는 생각과 함께 역사와 함께 홀로코스트도 흘러가는 것일까란 생각을 하게 되었다.
20세기의 셔츠는 기대를 많이 한 탓일까? 처음에는 다소 내게 산만하게만 느껴졌다. 그래서인지 읽어나가는게 조금은 버거운 감도 있었다. 초반이 지나고 중반으로 갈수록 흥미를 끄는 얘기들로 다가왔다. 헨리와 세라는 출산을 앞두고 아이용품을 사러가는 길에 박제사에 들르게 되고 그 박제사를 보고 세라는 처음에는 호기심을 보였지만 안으로 들어서자 눈빛은 바뀌고 주인을 보자 헨리를 이해할 수 없다는 듯이 쏘아붙였다. 어쩌면 세라의 입장도 이해가 갔다. 직접 아이디어르 구하지 않고 박제사를 통해서 아이디어를 얻는다고 얘기하는 헨리였기에.
희곡 '20세기의 셔츠'에 숨겨진 미스터리한 진실
증오와 광기를 신선하고 충격적인 방식으로 담은 우화
박제되어진 많은 동물들이 등장하면서 홀로코스트에 되한 것이 떠올라서 괜히 마음이 아팠다. 살아서 존재해야 할 것들이 박제로 존재하는 그곳. 박제사의 가게. 박제는 살아있는 것도 아니면서 살아있는 듯한 형태라 더 잔인하게 느껴졌다. 20세기의 셔츠에 나오는 홀로코스트에 대하여 좀 더 넓은 관점으로 바라보아야하지만 아직 내게는 그런 관저믜 눈이 없나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