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녕, 열여덟 어른 - 자립준비청년이 마주한 현실과 남겨진 과제
김성식 지음 / 파지트 / 2023년 1월
평점 :
자립 준비청년이 마주한 현실과 남겨진 과제 《안녕, 열여덟 어른》
자립준비청년은 누구를 말하는 것일까? 자립준비청년이란 아동복지시설(보육원,그룹홈, 가정위탁)에서 보호를 받다가 만18세에 퇴소하여 홀로 살아가는 이들을 말한다. 얼마전까지는 '보호종료아동', '시설퇴소아동'으로 불리다 '자립준비청년'으로 불린지 얼마되지 않았다고 한다.
사실 책을 읽어보기 전까지는 자립 준비청년에 대한 관심이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다만, 늘어나는 비어있는 집을 볼때면 시에 문의하여 묵을 수 있는 숙소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도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곤 했다. 보호자 없이 만18세가 되면 제대로된 보금자리 없이 사회생활을 해야하는 열여덞 어른을 위한 방법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었다. 《안녕, 열여덟 어른》은 아름다운 재단에서 '열여덟 어른 캠페인'을 하시는 김성식 팀장님께서 캠페인은 뻔하다는 편견을 깨뜨리고 공감을 이끌어주시고자 펴내신 책이다.
사실 캠페인을 보면 단지 보여주기식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드라마에서 보듯이 누군가가 고아원이나 보육원에 후원을 할때 사진만 찍고 가버리는 장면을 자주 보았을것이다. 아이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준다고는 하지만 마음으로 돕는 것이 아니라 물질적인 것을 제공하는 것이 모든 것을 해주는 양 구는 듯한 모습을 보면 마음이 좋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안녕, 열여덟 어른》에서는 '열여덟 어른 캠페인'을 통해 '자립준비청년'이 보호시설이 아닌 사회에서 자리잡기 위해 노력하는 것에 도움을 주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보호자 없이 자라는 아이들에 대한 편견들을 조금은 없애주었다. 책을 읽으면서 나는 언제 독립하여 어른이 되었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독자적으로 존재하는 독립. 나는 결혼하기 전까지 독립을 하지 못했던 거 같다. 부모님의 도움을 받으면서 대학을 졸업하고, 취직을 한 후에도 부모님집에서 기거하며 출퇴근을 했었다. 내 힘으로 살 곳을 구해서 홀로 살아간 시간은 없는 것 같다. 스물여덟에 결혼하기까지 제대로 된 독립은 하지 않았던 것을 생각하면, '자립 준비청년'들은 대단한거 같다. 스스로 살아가기 위해 노력하여야 하고, 어른이 되고 싶지않아도 어른이 되어야하는 '자립 준비 청년'들의 독립은 많은 편견들로 쉽지많은 아닐것이다.
《안녕, 열여덟 어른》에는 자립 준비청년 인터뷰를 담아 우리가 알지 못한 그들의 보육원 생활,학창시절, 후원자, 자원봉사자들의 방문으로 느끼는 감정들에 대한 이야기들도 있었다. 그리고 그들의 진로, 자립과정에서 힘들었던 점, 자립수당과 자립 정착금을 받았을때의 느낌들을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열여덟 어른이라는 정체성은 넘어졌을때 손잡아 주는 정도로, 외로울 때 혼자가 아니라는 위안을 줄 수 있는 정도로, 견뎌녀기 벅찰 때 고개를 들어 앞을 바라보게 해 주는 정도면 족할 것 같다. 그렇게 용도가 끝났을때는 이 단어에 더 이상 갇혀 있지 않고 자기 이름으로 세상에 나가는 이들이 되어 주기를 바란다. 열여덟 어른을 벗어내고 자기다움을 갖추게 됐을 때, 또 다른 정체성으로 자신을 보여줄 수 있을때 이렇게 인사해주길. 안녕, 열여덟 어른 P.233
처음에는 외롭고 힘들지라도 편견을 잘 이겨내어 어엿한 한사람의 존재로 살아가기를 응원해본다. '자립 준비 청년'에서 머무르지 않고 어른으로 사회에서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있기를 바래본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고 주관적으로 쓴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