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원익의 그리스 신화 : 신과 인간 1 - 알파에서 오메가까지 ㅣ 김원익의 그리스 신화
김원익 지음 /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 2022년 10월
평점 :
인간의 다양한 캐릭터로 재탄생한 그리스 신들, 그리스 신화 속 신들의 이야기는 결국 우리 인간의 이야기다
그리스 로마 신화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접해 보았다. 아이도 좋아하는 그리스 로마 신화라 동화로도 읽고 아이 연령에 맞게도 읽어보았지만, 이번에 읽은 김원익의 그리스 신화 : 신과 인간1 은 지금껏 내가 알던 그리스 로마 신화는 빙산의 일각임을 보여주고 있다. 수천년 동안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라 다양하게 해석되어지는 부분이 많다. 하지만 이세상의 모든 이야기의 원형이라고도 하는 신화를 만나보면 고대의 이야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현대 이야기와 상응되는 것을 알 수 있다.
1권 신과 인간의 이야기에서는 그리스 신화의 생성과 전승과정을 시작으로 그리스 신들의 전쟁,제우스의 12가지 리더십, 캐릭터의 원형 그리스 신들, 인간의 창조와 심판, 그리스 신화 3대 명문가문,인간의 탐욕과 오만, 인류의 영원한 테카 사랑이야기, 신화와 인간 심리. 이렇게 9가지의 주제로 이야기 하고 있다. 이렇게 방대한 내용을 보여주다보니, 책에서는 신화를 2~4페이지씩, 총 180일 분량으로 짦게 끊어서 부담없이 읽기를 권하고, 무엇보다 이 책에서는 다양한 그림과 가계도, 지도를 넣어 이해를 돕고 있다. 지금껏 보아온 그리스 신화 그림과는 다르게 다양하게 볼 수 있어서 더 좋았다.
제우스는 수많은 신들과 소통하고 통제하며 평화시대를 이끌어왔다. 그런 제우스가 전쟁을 치르면서 보여준 그의 독특한 리더십은 12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고 한다. 지금껏 알지 못했던 제우스의 리더십에 관한 이야기라 더 호기심이 생겼다. 제우스는 정의는 반드시 승리한다는 확신에 차있었다. 정의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수적열세에도 불구하고 티탄 신족에게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고 한다. 제우스는 의외로 소통의 달인이었다. 위기의 순간에 그 상황을 지켜보기 보다 스스로 움직이며 적극적인 조언을 했다고 한다. 게다가 제우스는 논공행상을 했다고 한다. 공과 사를 철저히 따지고 상과 벌을 주어 공정하게 했다고 한다. 그런 공정함이 있었기에 신들의 신으로서, 지도자로서 자리를 지킬 수 있었을 것이다.
한번 정한 원칙에는 예외 없이 철저했으며, 독재자였던 할아버지와 아버지를 반면교사로 삼아 자신은 신들의 왕으로 군림하기보다 각 신들에게 역할을 분담하며, 자식들에게도 권력을 골고루 배분했다. 올림포스 신족의 조직은 마치 한 국가의 권력구조를 연상시키기 충분하다. 제우스는 결단력의 소유자였다. 한번 결심한 일에 대해서는 번개처럼 속행하는 빠르고 단호한 모습을 보여준 것이다.그 외에도 절묘한 신비주의 구사, 냉철한 현실주의자, 변신의 귀재, 적을 만들지 않으려 노력하고, 의회주의자, 상생과 화합을 추구하는 리더십을 보였다. 그러한 제우스의 12가지 리더십을 발휘했기에 신들의 신으로 대우받으며 신들조차 감히 덤비려고 들지 않았던 것이다.
그리고 김원익의 그리스 신화에서만 볼수 있다고 생각되는 캐릭터의 원형 그리스 신들이라는 부분은 재밌게 다가왔다. 각 신들이 어떤 캐릭터로서 지금 현재의 모습으로 다가오는지에 관한 것이었다. 우리가 흔히 질투의 화신이라고 생각하는 헤라는 결혼의 수호신답게 자신의 결혼 생활을 방해하는 자는 누구도 용서하지 않있다. 그래서 헤라 유형의 여성은 결혼해서 한 남자의 아내가 되어 가정을 이루는 것이 인생 최대 목표라고 되어있었다. 자신의 가정을 지키기 위해서 질투의 화신이 될 수 밖에 없었던 헤라의 모습에서 가족은 신성불가침의 영역이기도 하다고 하니 헤라 유형의 여성을 만난다면 그녀의 가족에 대한 이야기는 하지 않는 것이 좋을것이다.
지하세계의 신으로 불리는 하데스, 그가 살고 있는 곳은 인간이 들어갈 수 없는 미지의 세계다. 하데스 유형의 남성은 하데스 처럼 은둔자이다. 깊은 산속에서 수도하는 수도사처럼 자신만의 공간을 고집하며 시끌벅적한 세상이 낯설다. 이런 유형의 사람들은 마음에 드는 사람이 있어도 제대로 말 한번 걸어보지 못하고 애만 태우다 떠나보내는 짝사랑 전문일지도 모르겠다.
그리스 신화에서 인간의 탐욕과 오만을 상징하는 인물을 떠올리라고 한다면, 누가 있을까? 단연 미다스가 아닐까? 탐욕스러운 그가 숲에 취한 노인과 대면했을때 범상치 않음을 느끼고 극진이 대접하고 나니 디오니소스가 나타났다. 그 노인이 바로 디오니소스의 스승이었던 것이다. 디오니소스는 고맙다며 소원을 하나 들어주겠다고 했고 탐욕스러운 성정 그대로 자신이 만지는 것은 무엇이든 황금으로 바뀌게 해달라고 간청했다. 디오니소스가 소원을 들어주자 너무나도 행복하게 그것을 확인하기 바빴던 미다스. 하지만 배가 고픈 상황에서도 어떤 것도 먹을 수 없었다. 모든 것이 황금으로 변해버린 것이다. 그런 미다스는 자신의 불행을 해결할 방법을 찾지 못하고 몸져누웠다가 결국 자신을 보러온 공주마저 황금으로 만들고 나서야 자신이 만지는 것이 황금으로 변하게 하는 능력이 바뀌게 해달라고 미다스에게 찾아가 용서를 빌며 부탁했다. 미다스는 결국 탐욕을 부리다가 불행을 자초하게 된다. 미다스는 부의 상징이라기보다 탐욕의 상징이 아닐까?
인류의 영원한 테마인 사랑이야기는 그리스 신화에서도 빠질 수 없다. 이 책에는 28가지의 사랑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시작으로 의부증과 의처증의 원조, 보이지 않는 사랑, 정신적 사랑까지 수많은 사랑이야기 중에서도 아프로디테와 아도니스의 사랑이 와닿았따. 아프로디테와 함께 하기를 원하던 아도니스. 둘은 언제나함께했지만 사냥을 좋아하던 아도니스는 결국 멧돼지에게 쫓기다 죽고 만다. 그런 슬픔에 눈물 흘리는 아프로디테의 앞에는 아도니스의 시신 대신 아네모네꽃이 한 송이 피었다고 한다. 그 멧돼지가 전쟁의 신 아레스라는 설도 있다고 하는 것을 보면 결국 사랑에는 슬픔도, 질투도 동반하는 것이리라. 사랑이 달콤하면서도 쓰다는 사실은 고대나 지금이나 매한가지인 모양이다.
그리스 로마 고전 6권과 그리스 비극 33편으로 전승된 그리스 시화, 실타래처럼 얽혀있는 난맥상을 인간의 관점에서 수많은 명화, 지도, 가계도를 통해 입체적으로 재구성하여 색다르게 와 닿았던 김원익의 그리스 신화였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고 주관적으로 쓴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