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의 영휴
사토 쇼고 지음, 서혜영 옮김 / 해냄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인적으로 책을 선택하는 기준이 여러가지 있다.

작가도, 판매부수도, 언론의 평도, 수상경력도.

그 중에 나는 개인적으로 출판사를 신뢰하는 편이다.

해석해보면 그 출판사에서 근무하고 있는 편집자들의 실력을 신뢰하는 것이리라.

'해냄출판사'는 개인적으로 신뢰하는 출판사이기에,

이 책을 선택함에 있어서 별로 망설임이 없었다.

사토 쇼고의 작품 중에 기존에 읽어본 책이 없었지만,

믿고 손에 들게 되었다.

'달의 영휴'라는 제목도 묘하지만,

표지의 인물들도 표정이 거의 없다.

'나는 달처럼 죽어서

다시 태어날 거야

너를 만나러 갈 거야'라는 문구가 책의 내용을 살짝 암식하고 있는 정도?

나오키상 수상작이라는 이야기도,

마아존재팬 베스트셀러 1위를 했었다는 이야기도,

나의 기대감을 살짝 높여주긴했지만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참 오랫만에 손에 든 소설이라는 사실이었다.

개인적으로 소설을 좋아하면서도 시간이 없다는 이유로,

다른 읽어야 할 책들(주로 실용서 중심)이 많다는 이유로

참 오랫만에 책읽는 재미에 빠져 보았다.

누군가의 삶을 엿보는 듯한 느낌.

결코 살아볼 수 없는 타인의 인생을 전지적 시점에서 둘러볼 수 있다는 것은

문학이 줄 수 있는, 특히 소설이 줄 수 있는 가장 큰 즐거움인 것 같다.

저자(사토 쇼고)의 다른 책들은 아직 만나보지 못했기에

이 책은 저자와의 첫만남같은 느낌도 들었다.

일본 소설을 읽으면 만나는 어색함(인물의 이름이 비슷비슷해서

자꾸 되짚어 보게 되는 행동들)은 여전했지만,

추리소설에 나름 일가견이 있던 저자답게

궁금증을 곳곳에 매듭지어두고,

복선을 매 장의 끝단 마지막 문장에 두어

책을 읽기 시작한 독자들이 중간에 책을 덮기 어렵게 하고 있다.

죽은 딸의 유화가 한 소녀의 손에 건네진다.

그 소녀는 죽은 딸과 이름이 같다.

죽은 딸에 대한 기억을 갖고 있다고 연락이 와서

그 소녀와 낯선 만남을 가지는 순간.

대화를 하기 전과 하고 난 이후

남자의 일상은 흔들이기 시작한다.

아니 흔들리는 정도가 아니라 꼬꾸라진다는 표현이 맞으려나?

그날의 사고. 아내와 딸의 죽음.

죽기 일주일 전

그 밤에 아내가 남긴 말이

여전히 남자의 주변을 돌고 있다.

한 소녀의 이야기인줄 알았는데,

그녀와 연결이 된 소녀가 있었고,

그 소녀는 또다른 여자 아이와 연결이 되어 있다.

그녀들이 찾고 있는 남자는 누구였으며,

그 남자를 찾아 이 모든 비밀을 알고자 했던 그는 결국 죽음을 선택했을까?

중심 사건은 짧은 만남이 전부인데,

시간을 거스르고, 그 거스름 속에서 사건과 인물을 만난다.

그 인물들은 또다른 연결고리에서 기묘한 경험을 하게 되고,

결국 이어진다는 의미를 고민하게 된다.

소설이기에 복선과 내용을 이야기하는 북리뷰는 의미가 없다.

반전을 이야기해버리면, 결국 소설을 읽는 재미 반을 빼앗기게 될 것이다.

개인적으로 작년에 많은 이들에게 사랑 받았던 드라마 '도깨비'가 많이 오버랩 되었다.

삶과 죽음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들.

윤회에 대한 이야기가 소설 전반을 꿰뚫고 지나가고 있다.

사랑. 그 절절함에 대해 이야기하는 저자는

결국에는 결론을 독자들에게 부탁하고 있다.

사랑의 주체에 대한, 대상에 관한 고민.

결국 누구를 향한 사랑이었으며,

과정에 있었던 모든 이들은 사랑이었을까?

옮긴이의 말처럼 이 책은 '두 번 읽으면 좋을 책'인지 모르겠다.

저자가 숱하게 뿌려놓은 복선들을 거둬들일때,

독자들은 그 사이사이에서 특유의 책읽는 재미를 느낄 듯 싶다.

공유와 김고은이 열연을 했던

'도깨비'를 재미있게 보았던 분들이라면

일독을 권한다.


초강력긍정주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