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린 희망 유재현 온더로드 6
유재현 지음 / 그린비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쿠바.
지금까지 내 마음 속에서 쿠바는
참 먼나라라는 느낌과 막연하지만 암울할 것 같은 느낌이 있는 나라였다.
'느린 희망'이라는 이 독특한 책을 만나고나서 쿠바는 내게 인간적인 나라가 되어 버렸다.
그 많은 실패한 혁명과 숱한 상채기를 끌어안고도 자연과 더불어 사는 법을 배운 사람들.
현재는 항상 미래를 바라보며 희생당해야 한다는 자본주의의 구호는
느림의 철학을 습득해버린 쿠바인들 앞에서는 땅에 떨어져 버렸다.
"승리할 때까지(Hasta la victoria Siempre"라는 말을 남기고 볼리비아로 떠났던 체 게바라도 처참하게 살해 당했다. 그의 죽음을 인정하지 않는 쿠바 국민들 앞으로는 그의 손목이 친절하게 배달 되어 왔다. DNA 검사가 불가능한 시절이었지만, 명백한 그의 죽음. 쿠바는 그의 죽음을 인정했다. 하지만 그들의 가슴은 체 게바라의 죽음을 받아 들이지 않았으며, 숱한 혁명, 무모한 혁명으로 그는 다시 살아 났다.
아직도 쿠바 어느 한 마을 벽면에 빛바랜 구호로 남아 있는 한 마디의 외침이 쿠바의 현재와 미래에 오버랩된다. "모든 거리에 혁명을(En Cada Barrio Revolucion)"
쿠바의 과거와 현재에 능통한 저자(유재현님)의 뒤를 따라 조심스레 한 바퀴를 돌았다. 그 많은 의미와 느낌을 담은 사진이 채 한장을 넘지 못하는 글로 요약되어야 하는 책의 한계가 아쉬웠다. 어느 날 하늘을 막은 천장이 있는 곳에서 그와 만나 조용히 쿠바의 이야기를 듣고 싶은 마음이 간절해 졌다. 아파서 천천히 걷는 게 아니라, 천천히 걸으면서도 행복하게 살 수 있다는 깨달음을 알려주는 쿠바. 조급함을 넘어서서 하루하루 전쟁과도 같은 날들을 보내는 우리들에게 쿠바는 이야기 하고 있다. 느림의 행복을 돌아보라고... 그리고 그 안에 희망이 있다고,
 

누군가 내게 "혁명에도 속도조절이 필요할까?"라고 묻는다면 나는 "그렇다"고 대답하겠다. 혁명은 관념이 아니라 현실이며 잠깐의 전복과 영원한 건설이다. 건설자들은 변함 없는 끈기와 신념을 가져야 한다   p.1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