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픽처
더글라스 케네디 지음, 조동섭 옮김 / 밝은세상 / 201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새로온 직원이 강추를 해서 재밌겠거니 했는데, 빌려주기까지 한다. 어쩔 수 없잖아. 읽어야지 음..

옆옆자리 강사님은 더글라스 케네디나 귀욤 뮈소와 비슷한 성향의 작가라고 귀뜸까지.

그래서 이 책만 읽으면 다 된다고 했다. 속으론 '설마요~" 하면서 첫장을 펼쳤다. 훗~

 

   벤 브래드포드는 변호사이다. 아내 베니와는 사이가 서먹하지만 애덤과 조시 두 아들을둔 평범한 중상층 가정이다.

변호사는 아버지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고, 원래 벤이 하고 싶었던 건 사진가이다.

늘 반복되고 지루한 찌찔한 일상에 답답함을 느끼지만 윌스트리트 변호사라는 이름의 가치는 상당히 크다.

어느날 아내 베니의 행동을 의심하게 되고, 이웃에 사는 제리와 바람이 났다는 사실을 알고 충격에 휩사인다.

게다가 아내는 모임중에 벤의 술주정을 계기로 이혼까지 요구하고 두 아들을 데리고 집을 떠난 상태이다.

참을 수 없는 벤이 제리를 살해하면서부터 이 소설의 가속은 시작된다... 였다.

 

'돈이 곧 자유야.' 그렇죠, 아버지. 하지만 그 자유를 얻으려면 일에 몰두해야 하죠. (35p)

 

   아.. 그런데 난 왜 이책이 이리 지루한지. 이 책을 아는 모든이가 그랬다. 순식간에 읽을거라고.

하지만 난 일주일이나 손에 쥐고 있었다고.. 재미가 있기는 한데, 도통 줄어들지 않으니 답답할 노릇이다.

벤이 제리를 죽이고 제리가 되기까지 치민할 과정과 뛰어난 판단력. 새로운 도시에서 사진가로서 새 삶을 준비하는 과정.

모두 흥미로웠다. 이렇게 하면 완전범죄라는것도 있을 수 있겠구나. 진짜 세상에서도 가능 한 얘기겠지 감탄까지 했다.

그리고 욕심을 버리면 본인이 가지고 있는 기능을 재발견 할수도 있겠구나 깨달음도 컷던, 마음까지 흔들어놨다. 가능여부는 미지수지만. 흣

간간히 나오는 인생의 단면을 깊숙이 말해주고 있는 대사와 표현은 철학책을 대변해도 되겠단 생각마저 든다.

다 좋은데 오래걸렸단 말이지... 시간 없었단 핑계는 대고싶지 않다.

 

누구나 인생의 비상을 갈망한다. 그러면서도 스스로를 가족이라는 덫에 더 깊이 파묻고 산다.

가볍게 여행하기를 꿈꾸면서도, 무거운 짐을 지고 한 곳에 머무를 수밖에 없을 만큼 많은 걸 축적하고 산다.

다른 사람 탓이 아니다. 순전히 자기 자신 탓이다. 누구나 탈출을 바라지만 의무를 저버리지 못한다.

경력, 집, 가족, 빚. 그런 것들이 우리가 살아가는 발판이기도 하다. 우리에게 안전을, 아침에 일어날 이유를 제공하니까.

선택은 좁아지지만 안정을 준다. 누구나 가정이 지워주는 짐 때문에 다다르지만, 우리는 기꺼이 그 짐을 떠안는다. (117p)

 

"내 말 잘들어, 친구. 인생은 지금 이대로가 전부야. 자네가 현재의 처지를 싫어하면, 결국 모든 걸 잃게 돼.

내가 장담하건데 자네가 지금 가진 걸 모두 잃게 된다면 아마도 필사적으로 되찾고 싶을 거야. 세상일이란 게 늘 그러니까." (119P)

 

'물질적 안정'이라는 미명 하에 이루어지는 모든 일은 그저 지나가는 과정일 뿐이라 생각하지만,

그생각은 가짜일 뿐이고, 언젠가 새롭게 깨닫게 된다. 자기 자신의 등에 짊어진 건 그 물질적 안정의 누더기 뿐이라는 걸.

우리는 어쩔 수 없는 소멸을 눈가림하기 위해 물질을 축적하는 것이다.

자기 자신이 축적해놓은 게 안정되고 영원하다고 믿도록 스스로를 속이는 것이다.

그래도 언젠가 결국 인생의 문은 닫힌다. 언젠가는 그 모든 걸 두고 홀연히 떠나야 한다. (251p)

 

질문. '지붕을 깨끗이 치웠을 때, 얻는 것은? 답. '텅 빈 지붕'. 다른 답. '자유'. (271p)

 

  술술 잘 풀리는듯 싶지만, 새 삶이란건 없다. 이런 과정에서의 새 삶은 있어서도 안된다.

그러니 벗어나려 해도 벗어날 수 없는, 마지막장의 대사는 살아도 사는 삶이 아니란 안타까움에 씁쓸하다.

 

'다 이해해. 다 이해해. ...하지만 어쩔 수 없잖아.' (487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남자친구의 전 여자친구
니나 슈미트 지음, 서유리 옮김 / 레드박스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너무 재밌다.' '웃기다' 등의 서평이 많아서 '책을 읽으면서 웃길수가 있을까?' 너무 궁금했다. 그런 책이 있다는게 신기하기도 했고. 책을 두어장 넘기면 '인류에겐 한가지 효과적인 무기가 있으니, 그것은 유머다(마크 트웨인)' 란 문구가 적혀있다. 마크 트웨인이 누군가. '허클베리핀의 모험', '톰소여의 모험'을 쓴 미국문학의 아버지아닌가. 그냥 믿고 봤다. 397P로 구성되어 있지만, 1P에 보여주는 글자수가 그리 많지 않아 금방 읽을 수 있을거란 예상과 기대를 하면서…

 

  루카스의 전 여자친구인 자비네 쉐퍼는 하필 안토니오가 사는곳으로 이사를 왔다. 그런데 루카스는 이사를 도와주러 간다는데, 자비네가 루카스 말고는 아는 사람이 없어 당연히 도와야 한다는 것이다. 당연히.. 당연히라니. 그것도 부족해 자비네가 활동중인 환경운동에까지 같이 활동을 한다는게 아닌가. 이 남자 대체 여자친구 생각은 조금도 하지않는구만. 그때부터 안토니오는 갖은 상상을 하며 본인을 불안에 빠트린다. 게다가 친한 친구인 카타마져 이상한 소릴하며 불안을 가중시킨다.
서른 이상 된 남자들은 여자와 사귄 지 2년이 되면 호르몬이 완전히 변한다는 건데, 마침 루카스와 사귄 지 2년이 다 되어간다. 말도 안되는 얘기라고 생각하지만 정말 그럴지도 모른다는 불안과 자존심에 쿨한척 하느라 정신줄 놓기 바쁘다.

 

  안토니오의 생리적인 현상과 관련된 에피소드들이 유난히 많은데, 표현이 직설적이라 속이 시원한 느낌이 들었다. 그리고 병적인 정리벽이 있는 카타때문에 난처한 상황에 빠지기도 하고, 또 둘사이에 중요한 다리역할도 하고있다. 라르스와 프리더라는 게이커플 때문에 루카스가 오해하게 되고, 자비네를 집으로 불러들여 결국 안토니오는 집을 나오게된다. 이렇게 절정으로 치닫게 되는 두사람의 관계회복이 어려워 보이지만, 우여곡절 끝에 화해를 한다. 물론 행복한 결말이 될지는 소설속에서 주인공들이 계속 살아숨쉬겠만, 불행하지는 않을거란 예상을 하면서 마지막장이 끝난다.

 

  결혼에 대해서 여자가 느끼는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 많아 고개를 끄덕끄덕했던 부분이 상당히 있었다. 너무 여자 초첨에 맞춰져 있어서 남자가 읽기에는 불편할수도 있고, 반대일수도 있다. 보는이의 마음문제겠지만. 공감가는 문구를 메모해 두었으면 좋았으련만, 다 읽고나니깐 아쉬운 생각이 든다. 이책은 반납해야하는데 말이지. 남녀관계든 그밖의 인간관계든 대화의 부재가 오해를 쌓고, 결국 소원해지는 관계로까지 이어지게 된다는 건 아는데 어렵다. 쉽게쉡게 쉬엄쉬엄 읽으면서 나에대해서 또 연인에 대해서 생각해 볼만한 책이다.

 

  여기서 독특한 캐릭터인 카타는 보는내내 이런 정리벽 있는 내친구가 있었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다. 가게에 들어가서도 마음대로 진열을 바꾸는데, 내 방이라고 안그러겠는가. 그럼 난 '치워주고 좋지 머'란 생각을 할것이다. 괜히 생각만해도 웃기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