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윤범의 파워 클래식 1 - 누구도 생각하지 못했고 아무도 시도하지 못했던 신 클래식 강의
조윤범 지음 / 살림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나는 이책을 클래식 음악의 역사책이자 음악가들의 일생을 그린 전기이며 그들의 사랑과 애환을 그린 인생 전반에 대한 교본이라고 말하고 싶다.
이책의 분위기에서도 알수 있듯이 단순한 클래식 책이 아닌 다가가수 있도록 호감을 가지게 했던 말그대로 파워였다. 조윤범의 파워 클래식은 책의 목록에 시기별 장르별 해당 음악가들이 나와 있어서 한눈에 보고 알수 있게끔 되어있었다. 또한 내가 알고 있던 천부적 자질의 음악가들의 뒤 이야기는 음악가를 떠나 하나의 인간으로 현재 우리의 모습과 전혀 다르지 않는 친숙한 인물들로 다가왔으며 그 음악을 이해하고 애정을 갖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어떤면에서는 보통사람들과는 다르게 애처롭고 불쌍하다는 동정심을 자아냈다. 지루하고 쿵쾅거리기만 했던 그 클래식이 그 작가가 어떤 상황에서 어떤 심정으로 썼는지를 알고 나니 그 음악에 대해 이루말할수 없는 애착이 느껴졌다.
조윤범이 이책을 쓴 목적이 어떻게 하면 대중과 클래식의 사이를 좁힐것인가? 어떻게 하면 보다 많은 사람들이 클래식의 매력에 빠지게 할것인가를 고민하고 쓴 책이라면 조윤범 그는 분명 성공했다고 볼수 있다 - 적어도 나에게는

우리가 이렇게 신선한 충격에 빠질 수밖에 없었던 주된 이유를 설명하자면 우리가 클래식이라는 음악분야를 처음 접하게 되었던 경로를 살펴 거슬러 올라가 볼수 있다. 우리는 처음 학교에서 고전파, 낭만파, 현대음악, 바로크음악, 시대는 몇 년대로 나뉘며 이기에 할동한 음악가로는 누구누구.... 음악으로는 무엇무엇이 있다. 줄줄 외우고 학교 음악감상실에서 베토벤, 하이든, 바흐, 멘델스존의 대표적인 곡 1-2곡을 들었음이 우리의 클래식 음악에 대한 전재산인 것이다. 영화나 드라마에서 대저택 교양있는 부인들, 고급 레스토랑에서 포도주와 어울리며 깔끔한 정장을 입어야 들을수 있는 음악으로... 누가 이런 클래식에 대한 이미지를 심어 주었을까....이런 제한적 사고는 다만 클래식 뿐만아니다..
랩이 청소년들에게는 신나고 즐기는 분야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려워 하고 있으면 어른들은 트롯트를 좋아하는 반면에 또 싫어하는 사람들이 있고 발레를 좋아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발레는 웬지 뭔가 무용에 대한 전문인만 좋아하는 것으로 이렇게 모든 사람들의 욕구는 다양하다...그것에 대한 기준은 누가 정할 수 없는 것이다. 진정한 그 분야에 대한 이해 없이는..... 그것을 조윤범은 대중적인 클래식으로 끌어 내렸다고 확신한다. 요즘은 전자현악기라고 해서 세미 클래식으로 좀더 편안한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온다얼마전에도 3인조 전자현악기 팀의 열정적인 연주를 보고 확~ 반했었다.

이제 더 이상 클래식은 어렵고 딱딱한 음악이 아닌 것을 난 안다.
작곡가는 음악이라는 물건을 만드는 사람이라면 관객은 그것을 소비하는 사람이고 연주자는 소비자에게 물건을 파는 사람인 것이다. 그러므로 연주자에게는 소비자인 관객에게 음악이라는 물건의 진가를 알려줘야 할 의무가 있다고 조윤범은 말하고 있다. 그런의미에서 조윤범은 여러분야 (방송, 콰르텍엑스리더, 책)에서 클래식에 대한 최고의 마케터라고 할수 있을 것이다. 조윤범은 현악4중주 콰르텍엑스의 리더다. 홈피도 가보고 들어가소 음악도 듣고 포스터도 봤다.너무 매력적이고 이렇게 음악이 아름다울수가 없었다. 거기에는 우리가 알고 있는 클래식도 많이 있었다. 미도의 테마 올드보이, 시네마천국, 연인의 향기 주제곡 , 바의의 샤콘느, 바희의 마법의 정원등....클래식 매력에 푹~ 빠졌다.

당장 레코드 가게로 달려가고 싶은 충동 가득이다. 이책을 통해서 이번에 알게된 것이 “푸가”라는 것인데 돌림노래나 캐논처럼 한 성부가 연주하고 그 뒤를 뒤따라오며 다른 성부가 연주하면서 곡을 연주해 나가는 것을 말하는데 어원을 살펴보면 “날아오르다”라는 뜻이라는데 정말 바희의 푸가사단조나 캐논변주곡은 정말 눈을 감고 들으니 정말 날아올라가는 듯한 기분을 느낄수 있었다.
그 돈 많이 드는 음악을 전공하는 동안 식구들은 뼈가 빠졌으나 자신은 그런것에 아랑곳하지 않고 음대에 갔으나 막상 음대에 가서는 음악공부는 안하고 컴퓨터나 다른 분야에 집중했었다는 그의 솔직한 말에 너무 웃음이 나고 황당했지만 그는 이시대에 클래식 전파의 한 전도사로 이렇게 또 우리에게 다가와 있었다.
하지만 이책에 대해 보완했으면 하는 사항은 전체적으로 유명한 음악가 알려지지 않은 음악가와 음악등 넓게 많이 써주신거에는 감사하나 분량을 조금 줄이고 이 책에 나오는 음악 몇곡을 CD로 담아 같이 부록으로 나왔다면 더욱 음악 이해가 쉽고 편하고 좋았을 것이며 그것이야 말로 대중에게 한걸음더 다가갈수 있었을 것이다. 여기 저기 싸이트 찾아가면서 음악을 듣기가 좀 힘들었기 때문이다.나의 의견을 보완하여 “조윤범의 파워클래식 2탄” 기대해 본다
나의 책꽂이에 언제까지나 꽂아놓고 우리 아이도 같이 공유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