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데루코와 루이
이노우에 아레노 지음, 윤은혜 옮김 / 필름(Feelm) / 2024년 10월
평점 :
영화 <델마와 루이스>를 오마주한 작품.
가부장적인 남편을 두고 떠난 '데루코'와 갑갑한 노인아파트에서 뛰쳐나온 '루이'.
<데루코와 루이>의 주요 인물 소개를 읽고, 단번에 오래전 영화 <델마와 루이스>가 떠올랐어요.
이 책은 영화 <델마와 루이스>를 오마주한 작품이에요.
영화는 절친 사이인 델마와 루이스가 주말 여행 중에 들른 작은 마을의 술집에서 만난 동네 건달에게 델마가 겁탈 당할 위기에서 루이스가 총으로 그를 쏴 죽이게 되면서 여행이 도주로 바뀌게 되요.
델마와 루이스가 차에 탄 채 손을 꼭 잡고 절벽으로 내달리는 마지막 장면이 인상깊게 남아 있어요.
이노우에 아레노의 책 <데루코와 루이>는 두 주요 인물이 '델마와 루이스'를 떠올리게 하지만 영화와 달리 아기자기한 범죄에 동화적인 분위기를 가미해 해방감과 동시에 잊고 있던 삶의 중요한 가치를 깨닫는 우정의 드라마를 그리고 있어요.
륜의 추천서.
모든 삶이 다 똑같지는 않겠지만 10대, 20대, 30대, 40대는 삶을 살아내야 했다면.
50대 이후부터는 어느 때부터 멈춰버린 삶 안에서 배회하거나 삶 바깥으로 나가거나 하는 선택적인 삶이 있는 거 같아요.
데루코 역시 멈춰버린 삶 안에서 배회하다가 루이의 "도와줘"라는 한마디가 기폭제가 되어 삶 바깥으로 나오게 되요.
선택하고 결정하지 못했을 뿐, 멈춘 삶 안을 배회하면서도 늘 삶의 바깥을 꿈꿔왔기 때문에 즉각 실행할 수 있었어요.
그렇기에 오히려 일흔이라는 숫자가 삶의 끝자락에 위치한 나이가 아니라 더욱 새로운 삶, 인생 2회차를 미련 없이 시작할 수 있는 한창 나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체력을 다 소진해야 장작을 옮길 수 있고, 언제고 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이 당연하게 여겨지며, 샹송을 부르지 말고 엔카를 불러야 하는 할머니라며 무ㅅ ㅣ를 받기도 하지만.
데루코와 루이가 훔친 별장에서 '나답게' 살았던 5개월 간의 이야기에는 일흔 살 노인이 아닌 삶을 적극적으로 만들어가려는 열의로 가득한 '데루코'와 '루이'가 있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