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큰바위 얼굴 ㅣ 바벨의 도서관 7
너다니엘 호손 지음, 고정아 옮김,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기획 / 바다출판사 / 2010년 12월
평점 :
품절
≪주홍 글씨≫의 작가, 너새니얼 호손의 단편 다섯 편이 실렸다.
<대지의 번제>를 읽고 바로 든 생각. ‘지구의 적은 바로 인간’ 맞구나. 물질문명의 추구, 무분별한 산업화를 바라보는 200년 전의 작가가 이미 이런 걱정을 하다니 놀랍기만 하다. 허무맹랑해 보이는 이야기에 스며든 환경 파괴에 대한 경각심은 헌재의 독자들에게도 유효하다.
<히긴보텀 씨의 참사>는 추리소설의 효시로 불리는 ‘에드거 앨런 포우’의 <모르그 거리의 살인, 1841년)>보다 무려 7년이나 먼저(1834년 최초 출판) 세상에 나왔다. 범죄, 탐정, 수사과정, 의외의 결말로 이어지는 구성엔 전통적인 추리소설이 요구하는 것들을 빠짐없이 수용하고 있으면서도 ‘최초’라는 타이틀을 포우에게 넘겨준 이유가 뭔지 궁금하다. 결말이 다소 맥 빠지고 수사랄 것도 할 수 없는 주인공의 활약 탓인가 싶기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은 미스터리 앤솔러지의 단골 작품이기도 하다.
<목사의 검은 베일>은 평생 검은 베일로 얼굴을 가리고 산 목사에 대한 이야기이다. 죽어서 땅에 묻히는 순간까지도 베일을 벗지 않은 이유가 무엇일까. 목사가 가린 것은 자신의 얼굴이 아니라 죄 많은 사람들이 아니었을까, 생각된다. 목사라는 직업을 염두에 둔다면 가릴 게 아니라 오히려 세인들의 죄를 마주하고 교화에 더 힘을 써야 하지 않았을까, 하는 의문도 들고. 어려운 작품이다.
<웨이크필드>는 가출한 남자의 이야기다. 이 행동이 기행인 이유는 아내가 있는 집이 보이는 가까운 곳에 얻은 셋방에서 무려 20년을 칩거했다는 사실이다. 작가는 남자의 행동을 단순한 가출이 아니라 ‘배우자 유기’로 보고 있는데, 당시엔 여자들의 경제력은 오롯이 남편에게 달려 있었기 때문이다. 다행히 집안의 경제력엔 문제가 없었던 듯, 남편이 없는 세월 동안 부인이 밥을 굶거나 삯일을 하거나 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남편이 다시 아내 곁으로 돌아가는 것으로 이야기는 끝나는데, 남자의 이런 행동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다. 남자는 무엇으로부터 도망가려 했을까. <목사의 검은 베일>과 더불어 의미심장한 알레고리가 있을 것 같은데, 어렵다.
<큰바위 얼굴>은 이 책을 읽게 만든 작품이다. 오래 전, 국어 교과서에 실렸던 기억이 났다. 시험도 쳤을 거고 여러 번 읽었을 텐데, 어떤 이야기인지 도무지 생각이 나질 않는 거다. 수십 년 만에 다시 읽은 감상은 어땠을까.
착한 동화 같다. 온 마을이 바위산에 새겨진 얼굴처럼 생긴 ‘현자’를 기다리는데, 이 사람인가 싶으면 아니고 저 사람인가 하면 또 아니고. 거듭 실망만 하다가 결국은 부자도 아니고 가방끈도 짧은, 그저 마을 토박이로 거의 평생을 살다가 이젠 노인이 된, 내세울 것 없고 평범하기 짝이 없는 주인공이었다는 결말.
그저 평범한 동화 같지만, 기다리지 말고 스스로가 ‘그 사람’이 되라는, 모든 일에 과욕 부리지 않고 성실하게 임하면 언젠가는 하늘이 답해준다는,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같은 유수한 격언들도 생각나게 하는, 교과서에 실릴 만한 딱 그만큼의 이야기. 절실하게 구한 것이 멀리 있었던 게 아니라 바로 곁에 있었다는 주제는 ‘마테를링크’의 ≪파랑새≫에서도 반복됐던 것 같다.
<바벨의 도서관(la Biblioteca di Babele)>이라는 타이틀로 ’루이스 보르헤스‘가 기획하고 감수하고 해제를 단 시리즈의 한 권이다. 2000년대에 ’바다출판사‘라는 곳에서 전권 출판한 적이 있는데 중요한 책들은 품절이라 구하기가 쉽지 않다.
사족.
‘호손’의 <웨이크필드>에 영감을 받은 ‘E. L. Doctorow‘라는 작가가 동명의 소설을 발표했다. 게다가 2016년엔 동명의 영화까지 만들어졌다. 영화 정보를 보니, 크레딧에 호손과 닥터로우 둘 모두 명시되어 있지만, 이런 경우 닥터로우의 창작물이 될 수 있는 건지, 외국엔 저작권의 의미가 우리와 다를 수 있는 건지 궁금하다. 영화 시놉시스를 보니, 이야기의 골자는 거의 똑같던데 이게 가능한 일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