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1시간, 책 쓰기의 힘 - 성공한 사람들이 절대 알려주지 않는 진짜 자기계발
이혁백 지음 / 레드베어 / 201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하루 1시간, 책쓰기의 힘

책쓰기에 대해 관심이 생겼다가 오히려 글쓰기에 더 관심이 커졌다. 원래부터 내 관심사는 글쓰기였지 책쓰기가 아니었으니 그랬는지도 모르겠다. 책쓰기는 정말 반짝 호기심이 생기다가 금세 가라앉았으니 말이다. 책쓰기의 효과는 정말! 그만 읽고 싶을 만큼 너무 잘 알고는 있다. 하지만 이 책을 읽기 전 몇 권의 책쓰기 책을 읽고서 실망을 했더랬다. 책쓰기 책으로 자신의 책이나 운영 중인 카페와 회원들의 홍보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는게 너무 뻔히 보였고, 읽다 보니 홍보 책자를 보는지 비슷비슷한 글들을 짜집기 하고 여러 사례를 풍성하다 못해 모음집이나 퍼레이드로 펼쳐내고 있어서 관심이 뚝 끊겼다.

 이 책 역시 엄청나다. 국내외 책을 쓴 작가들의 사례집을 보는듯했으니. 앞서 실망을 했기에 책쓰기 책은 당분간 읽지 않으려 했다. 그런데 그 책을 읽기 전 <하루 1시간, 책쓰기의 힘>이 알려주는  "하루 1시간 따라만 하면 되는 책쓰기 실전 노하우"가 궁금해 신청했다는 걸 알았다. 물론 그 순간의 선택을 후회하진 않지만 읽어야 할 도서들 중 뒤늦게 발견한 이 책은 조금은 다르겠지 생각하며 읽었는데 역시 실망을 했다. 책쓰기 책을 여러 권 찾아서 읽는다는건 그만큼 관심이 있고 책쓰기가 자체가 궁금해서다. 그 말은 지루하고 식상한 동기부여를 받고 싶었던게 아니라, 비싼 수업료를 내지 않더라도 책쓰기의 노하우를 조금 더 알차고 상세하게 알고 싶었다는 뜻이다. 이젠 내 기대와 욕심이 너무 컸다는걸 확실히 알게 되었다. 순수한 재능기부 작가는 없었음을..

 

 하루 1시간 책을 써라는 글이 꼭지마다 등장해 쇠뇌를 시키는건지, 주입을 시키는건지, 강요를 하는건지 모르겠더란 말이다. 책쓰기의 효과를 주구장창 연발하지만 책쓰기의 방법이나 구체적인 제시는 너무 빈약하다 못해 초라했다. 그 이유는 앞서 말했듯 다른 책들을 읽었고, 카페도 가입하고, 검색도 여러 번 해봤기 때문이다. 신선하다거나 특별한 비법은 없었다. 그래서 글쓰기 책이 오히려 더 배우고 참고할게 많다고 느낀 이유다. 글쓰기와 책쓰기는 저자도 말했듯이 다르다고 생각하지만 책을 쓰기위해서는 글쓰기가 우선이다. 책을 쓰라고 말만 하지 말고 어떻게 글을 써야 되는지 알려주는게 먼저 아닌가? 글쓰기 대신 작가가 되는 방법을 배우라고 하면서 뭘 알려준건지.. 말만 번지르하고 실속이 없으니 하는 말이다.

 

 물론 다들 일단 쓰라고 한다. 글쓰기가 아닌 책쓰기가 먼저고 책을 쓰다 보면 글쓰기가 는다며. 말은 참 잘 갖다 붙이는 것 같다. 책의 장르와 컨셉은 자신이 관심 있고, 직업에 관련된 글을 더 잘 쓸 수 있으니 지금 당장 쓰고 보라고.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왜 그렇게 무성의하게 들리는지 모르겠다. 이 요리가 궁금해 요리책을 펼쳤는데 레시피는 없고, 맛난다며 입에 발린 소리만 하다 일단 자기 식당에 와서 먹어보면 누구나 만들 수 있다며 광고하는 느낌이다. 한마디로 요리책이 아닌 전단지 느낌. 작가란 뜻이 한자로 지을작, 집가를 합해서 집을 짓는 거와 같다고 했나? 집을 지으려고 어떻게 짓는지 묻는데 모델하우스를 보여주며 자랑질 하다 땅 사서 기둥 세우고 지붕을 얹어 뚝딱 만들어 분양하면 다른 업자와 나처럼 너도나도 돈 벌어 성공한다고 무식하게 떠벌리는 느낌이다.

 그리고 서로 경쟁 도서를 읽지 않는 것인지 의문이다. 아님, 서로 베끼기에 열중했는지. 어쩜 하나같이 사례들이 비슷하고 쟁점으로 제시하는 방법이 서로 브리핑을 한건지 문장이며 단어가 닮아도 그리 닮는지. 게다가 홍보 수단도 마찬가지다. 거기에 조금씩 살을 붙이고 나름 포장을 했지만 한두 권을 읽고 나면 들키고 만다. 이 책은 성의가 있는지, 얻을게 있는지, 시간을 버린 건지 말이다. 정말 책쓰기 책은 더 이상 알려줄게 없어 전부 다 이런 것인가? 아님, 그게 알려줄 수 있는 최대치인가? 진심으로 궁금타.

 이 책 역시 도서관에 가지 말라고 한다. 저자는 것도 참고도서와 경쟁 도서를 100권을 직접 사서 읽으라며. 말인지 뭔지.. 그래서 눈치를 챘다. 아~ 사례가 엄청나겠다고. 시간의 소중함과 중요성을 한참 나열하다 책 쓴 사람들과 자신의 회원들의 이야기를 더해 살짝 맛보기로 책 쓰기는 이렇게! 아주 단순하고 기본적인 방법을 알려주는데 과연 남들과 다른 차별성을 띈 책쓰기 팁과 고급 정보라며, 독자들을 책 한 권으로 곧장 책쓰기로 안내할 수 있는지 책쓰기 작가들은 스스로 생각해보길 바란다. 이젠 더는 궁금하지도, 알고 싶지도 않지만.

 

 물론 시간의 힘과 책쓰기의 필요성에 화려한 효과를 더해 책을 쓰고 싶게는 만든다. 하지만 딱 그 순간뿐이다. 지금 당장 안 쓰면 세상이 큰일 날 것처럼 호들갑 떨면서 사탕발림으로 어르고 달래다 대가를 지불해야 된다며 주머니를 열게 만드는 수작으로 밖에 안 느껴진다는 것이 문제다. 그냥 나름대로 책쓰기 동기부여책 아니면 솔직하게 홍보책으로 이름을 붙이는게 훨씬 낫지 않을까 싶다. 책쓰기에서 퇴고, 출판사 선정과 계약, 홍보까지 이건 굳이 이 책을 읽지 않아도 얻을 수 있는 정보들이었다. 결론은 하루 1시간씩 뭐든 꾸준히 글을 쓰라는 것! 하루 1시간이면 충분하다고. 그럼 한 권의 책으로 출간이 되고 당신의 인생은 새로 쓰인다고. 이게 핵심이자 끝이다. 이 말을 하고 싶어서 그렇게 빙 둘러 설명했단걸 알고 나니 그 허탈감이란.. 저자가 그렇게 강조한 시간은 정말 억만장자가 와도 돈을 주고도 살 수가 없다. 그런데 책쓰기 책들이 내 귀한 시간을 훔쳐 갔다. ​책 제목부터 표지, 목차, 꼭지, 구성까지 유심히 보지만 정말 이젠 책쓰기 책은 무작정 혹해서 읽지 않을 테닷!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