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쓰기의 나비효과
김진섭 지음 / 프리윌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쓰기의 나비효과

갑자기 책 쓰기 관련 책들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그동안은 생각만 했던 작은 관심이 이젠 조금씩 더 커지고 있어서인지 궁금증이 많았는데 두 번째로 읽게 된 이 책은 우선 첫 번째 읽었던 책 쓰기 책보다는 좀 더 알차지 않았나 싶다. 독자는 장황한 비전과 달콤한 성공의 유혹보다는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요소를 더 읽고 싶어 한다. 왜냐면 사실, 처음 읽었던 도서로 동기부여는 충분히 받았지만 결국 내게 남은 게 없다는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다. 처음 읽었기에 그 책이 좋은 정보를 담았는지, 하나라도 얻을 게 있는지 장, 단점을 파악할 수 없었는데 두 번째 읽은 "책 쓰기 나비효과"로 약간은 그 차이점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더 책 쓰기 비법을 알고 싶어졌는지 모르겠다. 충분히 얻었다면 더는 책 쓰기 입문서나 초보서를 읽을 이유가 없으니까 말이다. 같은 말만 반복하고, 다른 사람의 글을 베껴 쓰거나 짜집기 했다면 그 책 쓰기 비법은 결국 자신의 책도 아니며 따라쟁이라는 수식어를 붙여주고 싶다. 물론 독자들이 작가의 말보단 조금 더 유명한 사람들의 글을 보고 더 많은 공감과 쉽게 인정을 하겠지만 그건 지루하지 않게 적당한 선을 넘지 않는 딱 거기까지여야 한다.

 

​물론 이 책도 피해갈 수는 없었다. 책 속의 인용구는 절로 고개를 끄덕이게 되지만 <탁구영의 책 한 권 쓰기>의 저자 조관일 이라는 분이 더 궁금해졌고, 오히려 그 책을 읽어보면 더 많은 정보가 담겨있지 않을까 싶은 맘이 컸다면 내가 이상한가? 많은 사람이 책 쓰기로 유명인사가 되고, 엄청난 돈을 벌었다는 건 알지만, 책 속에 담긴 많은 작가 중에 유독 조관일 작가의 글들에 눈이 갔으며 궁금증을 해소하기에 좋았기 때문이다.

 

 

​육군 장교에서 보험설계사로, 그리고 5년 전 영화인 야구단에 가입 후 단지 거짓말이 싫어서 글을 쓰기 시작했다는 김진섭 작가. 시나리오와 소설을 분간도 못 했던 그가 첫 번째 작품 <그린 스캔들> 이후 6년 동안 영화 시나리오, 소설, 자기계발서 등을 꾸준히 집필하고 있다고 한다. 시나리오 한 편을 써서 작가라는 명칭을 얻어 보자는 게 글쓰기 동기의 전부였던 그가 글을 쓰면서 작가라는 꿈을 이루고 엄청난 나비효과를 얻었다며 책 쓰기 나비효과와 책 쓰기 효과를 하나씩 알려준다.

 

​처음엔 그의 무대포 정신과 앞만 보고 달려가는 그 실행력이 대단하게 보였다. 생각만 하지 않고 곧장 실천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공도 아닌 그가 비싼 책 쓰기 관련 교육이나 강의, 특강 등을 단 한 번도 듣지 않고 오로지 독학으로 책을 썼다는 고백이 더 와 닿았다. 그리고 책을 쓰고 싶은 간절함이 전해졌기에 오히려 더 응원하고 싶은 맘이 컸고, 시행착오를 통해 전해주는 그의 충고와 조언들이 진정성이 느껴졌기 때문에 이 책이 더 순수하고 순박하게 느껴졌다.

 

그리고 읽을수록 점점 전문서로 분위기를 바꿔 자기계발서인 본연의 역할에 충실히 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하지만 "좋은 책을 내고 싶거나 글솜씨가 없어서 걱정이라면 사례를 듬뿍 담기를 권한다."란 글에 반감이 들었다. 듬뿍 이라….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사례, 이야기, 통계 등을 활용하는 건 찬성이지만 남의 이야기를 더 많이 쓸 거면 독자는 그 사람의 책을 읽어보고 싶어한다. 내가 그랬듯이.

 

저자는 알고 있었다. "독자는 특별한 경우가 아닌 한, 아마추어의 이론이나 논리, 주장에 별 관심이 없다."라고 했기에. 하지만 독자는 그런 아마추어의 이야기도 듣고 싶다는 걸, 더 자극을 받는다는 걸 모르는 것 같다. 책 쓰기 초보기에 그 과정 하나하나를 알고 싶어한다. 책을 읽고서 물론 얻은 것도 많다. 책 곳곳에 줄을 그었고, 참고할 좋은글귀도 많았기 때문이다. 또, 문장은 간결할수록 좋다는 글에 공감하며 서평을 쓸 때도 좀 줄여서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을 덮고서 느낀 건 왜 책 쓰기 책들은 진짜 궁금한 건 알려주지 않을까였다. 구체적인 제시보단 효과에 치중하고, 큰 틀 대신 세세하지만 아주 기본적이고 기초적인 것들은 빼먹는데 그건 다음에 기회가 되면 내가 직접 써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따로 메모 해두었다. 그래서 여기선 말을 아끼고 싶다. 아쉬운 부분도 있지만 어쨌든 이 책을 읽고서 좀 더 어떻게 접근하면 좋을지 파악해볼 수 있어 나름 도움이 되었고, 책쓰기 나비효과를 꿈꿔보는 유익한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