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 일 없는 것처럼 - 아무 일 없지 않지만
설레다(최민정)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먼저 설레다님의 '내 마음 다치지 않게'를 재밌게 읽고 난 후 두 번째 만나는 도서라 더 반가웠던 '아무 일 없지 않지만 아무 일 없는 것처럼'. 이번 책의 내용은 월화수목금 요일별로 매일 직장생활을 하면서 경험하고 느끼는 많은 감정들을 주인공 설레다 토끼인 설대리의 사회생활을  접하며 한 장의 글과 그림 속 블루메모를 통해 함께 공감하고 위로받을 수 있는 직장인들을 위한 필독서!

 

직장생활을 하면서 참 힘들었던 신입시절도 생각나고, 하루하루 어쩔 수 없이 버티며 출근하기 싫어도 월급날만 기다리며 억지로 출근했던 기억, 일하면서 보기 싫었던 부도덕한 모습, 부딪히기 싫은 상사, 약속 있는건 귀신같이 어찌 아는지 그때마다 매번 골탕 먹이는 퇴근시간을 맞이하며 기다리던 야근, 그들만의 리그 속에서 함께 물들어가는게 싫기도 했고 엮이는 그 자체가 스트레스였던 직장도 있었지만 그런 경험을 바탕으로 나에게 맞는 일과 좋은 분들과 행복하게 사회생활을 했던 고마운 직장도 떠올라 추억처럼 입가에 웃음 지으며 그땐 그랬지.. 나도 그랬어, 너도 그랬니? 함께 주거니 받거니 소통하며 읽었던 시간.

 

낯선 환경에서 처음 보는 사람들과 함께 어울려 생활하는 색다른 경험이 처음엔 두렵다가, 신났다가.. 점점 크고 무거운 돌들이 짓누르듯 숨이 턱턱 막힐 때도 생기고, 나의 능력을 과소평가 & 과대평가하는 경험도 느껴보고, 알려주거나 가르쳐주는 이도 없으면서 많은 업무량을 던져주고선 일사천리로 처리하길 바라는 심보 고약한 상사.. 그리고선 기다렸단 듯이 본인의 노력과 성과인 듯 자기 이름으로 보고하고 결제 받아 뿌듯하게 칭찬받는 얄미운 상사.. 고맙단 한마디, 수고했단 말한마디 대신 다음엔 더 많은 것을 바라며 본인이 할 일까지 가리지 않고 혼자 해결하기도 벅찬 일들까지 많고 많은 업무량을 던져주며 아무렇지도 않게 막 시키고 부려먹는 지독한 상사.. 실수하면 그동안의 성과는 까맣게 잊고선 바로 질책을 쏟아내는 인간미라곤 눈 씻고 찾아볼 수 없는 밉디미운 다혈질 상사.. 참 다양한 인격을 마주할 수 있었던 직장생활의 연속.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일을 처리하면서 느끼는 스트레스보다 사람과의 관계에서 쌓이는 스트레스가 참 많은데 어떤 사람을 만나는지에 따라 일도 사회생활도 재밌고 신나게 접할 수 있기에 인복이 참 많아야 한다는 생각도 든다. 상사나 동료나 후임이나 힘들 때나 울고 싶을 때 내 마음 알아주는 이가 한 명이라도 있으면 그래도 버티고 견딜 수 있는 하루하루기에 반복되는 무의미한 삶이지만 또 스스로 다독이고 다짐하며 제목처럼 아무 일 없는 것처럼 다시 힘을 내보는 오뚝이 정신.

 

'견디는 하루가 아니라 살아가는 하루가 되도록'이란 글이 참 좋다. 출근하기 싫은 월요일부터 주말이 기다려지는 금요일까지 고군분투하는 설대리의 모습 속에서 내 모습과 내 속마음도 들여다보고 아리고 곪아 있는 상처를 치유받으며 나만 힘든건 아니란 위로도 받고, 싫어도 해야 하고 그래도 출근해야 한다면 좀 더 편한 마음으로 조금씩 마음의 여유를 느끼며 힘차게 전진해보면 좋을 것 같다. 때론 혼자서 아무리 조급해도 해결되지 않는 문제들은 도움도 받고 뒤처진 사람이 있으면 내 경험을 바탕으로 조언도 해주고 따뜻한 말 한마디를 건네줄 수 있는 훈훈한 선임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면서 내가 없어도 잘만 돌아갈 세상에서 혼자만 무거운 짐을 졌다고 힘들어하거나 아파하지 않고 그래도 내게 주어진 일과 직장을 사랑할 수 있도록 마인드 컨트롤을 해보는 시간.

 

내가 지금 잘 하고 있는건지 해답을 찾을 수 없거나 스트레스가 쌓일때나 답답하고 힘들때 이 책을 펼쳐보며 토닥토닥 진심 어린 위로와 공감을 느끼며 나보다 설대리를 더 응원하는 마음으로 읽을 수 있는 '아무 일 없는 것처럼'. 너무 현실적이고 적나라하게 콕콕 집어 알려주니 읽는 내내 씁쓸한 현실이었지만 설대리의 모습을 통해 직장인들의 속풀이용으론 딱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