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짝을 찾고 싶다 - SBS『짝』PD가 출연자 677명을 통해 본 남자 여자 그리고 인간
남규홍 지음 / 예문사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도 짝을 찾고 싶다

​천 일 동안 애정촌을 지켜온 촌장, 짝 PD가 출연자들에게 묻다!

 

​ SBS '짝' 프로그램을 즐겨 시청하던 시청자로서 안타까운 사건으로 폐지가 된 짝을 너무 아쉬워했던 1인이기에 '나도 짝을 찾고 싶다'라는 도서가 더 반가웠다. 그 뒷이야기도 너무 궁금했고 짝을 찾기 위해 출연한 많은 여성과 남성들의 솔직한 속마음과 그들을 지켜보며 느꼈던 남규홍 PD가 들려줄 인간의 본성을 어떤 해석으로 들려줄지 기대가 컸던 만큼 책을 펼쳐보기도 전에 설랬던 요책!

 

 각자의 이름 대신 1호, 2호 애칭으로 부르면서 나이와 이름을 배제하고 서로를 똑같은 한 사람으로 룰을 정해 일주일간의 공감과 교류로 자신의 속마음을 알아가고 그토록 찾고, 기다린 반쪽을 만나기 위해 욕심도 내고 질투도 하고, 웃기도 하고, 울기도 했던 생생한 현장! 낯선 사람을 만나 애간장 타고, 그 사람의 마음을 얻기 위해 고군분투하던 출연자들! 그동안 몰랐던 자신의 본모습과 마주하는 시간. 조건과 외모지상주의로 사람을 판단하고 경계심의 날을 세운 사람들의 모습도 보고, 한결같은 믿음으로 헌신적인 사랑을 하는 사람의 모습도 보고, 미련한 사람과 상처를 가슴에 간직한 사람들의 서투른 사랑의 모습도 보면서 배신과 배반으로 얼룩진 이중성향도 만나볼 수도 있었던 짝이란 애정촌.

 

 일반인부터 연예인까지 출연했지만 그들은 단지 자신의 짝을 찾고 싶은 평범한 사람들이었다. 누가 잘나고 누가 더 멋진 사람이 절대 아니었음을! 화려해 보여도 그들도 외로운 사람이며 각자가 가진 상처들로 마음을 닫고 사랑이 두려웠던.. 여자든 남자든 서로의 마음을 어루만지고 돌볼 시간이 없었던게 아닐까 싶다. 사랑이 서툰 사람들은 표가 나기 마련이다. 너무 앞서가거나 너무 친절한 배려와 챙김은 오히려 더 부담스럽고 불편해져 버린다. 하지만 정작 자신만 모르는..

 

 사랑에도 강, 약이 중요하다. 타이밍도 무시 못하지만 약간의 밀당도 필요한 법! 혼자 맘만 급하니 이도 저도 판단하지 못하고 또다시 실수 연발 그렇게 사랑이 떠나가고 아쉬워한다. 여자는 못 믿어, 남자는 다 그래~ 자신의 문제점을 발견하지 못하고 남탓만 시종일관 되풀이하는 사람들. 가진 자와 못 가진 자! 화장실 갈 때와 나올 때가 다르듯 의자왕, 의자녀가 되면 더 그렇듯 이리 재고 저리 재고 나리도 아닌 출연자들. 도시락 선택에서 혼자 밥 먹는 사람도 생기고 결정 장애가 온 듯 쉽사리 선택하지 못하고 이 사람, 저 사람, 다 마음을 주다 혼자가 되버리기도 하고 또다시 상처를 주고 받는 이상한 마을 애정촌.

 

 많고 많은 사람들이 거쳐간 애정촌의 커플은 몇 명이며 결혼에 골인한 사람은 얼마나 될까? 생각해보면 많은 커플이 있었던 것 같은데 그렇지도 아닌 요상한 현실. 커플이 되어서도 방송이 나가고 다른 출연자와 커플이 되서 결혼에 골인한 사람들도 있으니 참 신기할 뿐이다. 그래도 모태솔로, 자신을 꽁꽁 둘러싸고 드러내지 않은 사람들이 짝이란 프로에 출연한 뒤, 자신감을 얻고 당당하게 세상에 나설 수 있는 힘과 에너지를 얻었다니 천만다행^^ 사람에게 받은 상처는 사람을 통해서 치유된다고 하듯 서로의 장, 단점을 보고 각자의 상처를 보듬어주고 따뜻하게 배려하면서 그동안 두근두근 콩닥콩닥 설렘을 느끼지 못 했던 출연자들의 마음에 사랑의 불씨를 선물해준 고마운 프로그램이 되었을 터. 그들은 지금쯤 다들 짝을 찾았는지 궁금해진다.

 

 이 책을 읽고 나서 느낀건 사람 마음은 참 알다가도 모를 일. 나 역시 살아가면서 단 한 명이라도 그 사람의 마음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을까? 내 속마음도 오락가락 시시때때로 변화무쌍한데 말이다. 마음과 머리가 따로 놀던 애정촌 출연자들을 보면서 현실은 현실이구나 싶었고, 나라면 어떤 선택을 했을까 궁금해진 나도 짝을 찾고 싶다. 아무리 능력 많고 잘생기고 이쁜 사람이라도 사랑에 서툴다면 별반 다를 바 없고, 사랑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으면 백날 짝을 찾아도 아픔만 남겨질 사랑.. 살면서 가장 어렵고 힘든 숙제가 후회 없이 평생 함께 할 소중한 반쪽을 만나는 일이 아닐까 싶다. 만나도 흰머리 파뿌리 될 때까지 함께 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더 많은 요즘이기에 어떤 선택이 옳은지, 어떤 본심이 숨겨져 있는지.. 짝이란 프로그램이 더 리얼하고 많은 공감을 얻었던 이유가 그 속에서 모든 감정들과 인간의 심리들이 그들도 모르게 표출되었기에 시청자들도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느낌도 들어 더 사랑받지 않았을까.. 사람이기에 똑같은 실수를 하고 똑같은 결정을 할 수 있는 법!

 

서로 조금 부족하고 나와 맞지 않은 성향이라도 마음이 오가고 통한다면 하나씩 맞춰가고 노력하면서 이쁜 사랑을 이어가면 좋을텐데 상대방을 만나 사랑을 확인하는 그 떨림을 이어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일주일간의 소통으로 확신하며 고백하기엔 말처럼 쉽지만은 않은 선택.. 세상엔 완벽한 사람은 없다. 책을 통해 나를 반성하고  내 사람에게 감사한 마음이 들면서 오랜만에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짝'을 다시 만날 수 있어 즐거웠다. 언젠가 짝2를 만날 수 있길 기대하며 2015년 모든 사람들이 각자의 짝을 찾아 행복한 새출발을 하길 응원해본다.


 

나도짝을찾고싶다, ​천일동안애정촌을지켜온촌장, 짝PD가출연자들에게묻다!, SBS짝나도짝을찾고싶다, SBS짝PD가출연자677명을통해본남자여자그리고인간, 남규홍, 예문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