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흔부터 시작하는 월300만원 노후자금 만들기 - 돈 걱정 없는 인생 2막의 연금 자산관리
곽재혁 지음 / 길위의책 / 2019년 1월
평점 :
품절
2차 베이비붐 세대인 40대는 이미 100세 시대로 접어들었다고 한다. 그만큼 퇴직 후 노후자금이 많이 필요한데 저자는 월 300만 원은 있어야 어느 정도 여유 있게 생활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아직 40대가 아니라 천만다행이라는 생각이 잠시 들었다가 몇 년 뒤엔 남일이 아니기에 정신이 번쩍! 하지만 지금도 늦지 않았다는 사실과 미리 겁먹을 필요는 없다는 글이 작게나마 위로가 됐더랬다. 현실적이고 실행 가능한 계획을 세워 돈 걱정 없이 노후대비를 할 수 있는 은퇴플랜은 어떤 게 있을까? 일단 연금 자산관리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부부간에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의 3층 기본연금만 잘 관리해도 최소 노후 생활비 이상의 재원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이다. 거기다 주택연금과 여유자금, 은퇴 후 소일거리만 살짝 추가하면 월 300만 원은 불가능한 금액이 아니기에 이 금액을 목표로 삼고 실천하도록 제시가 되어 있다.
마음이 앞서 종잣돈을 빨리 굴리고 싶겠지만 투자사기와 창업 유혹, 카더라 통신에는 귀를 닫는 편이 낫다고 귀띔한다. 조바심은 늘 판단을 흐리게 만들 뿐 "마음에 여유가 있으면 사기인지 아닌지 정확히 보인다"라는 글이 와닿았다. 인생 1막은 직장을 다니면서 돈을 벌고 모으는 단계며, 인생 2막은 금융/재무 지수를 키워야 한다고 한다. 40대는 현재 1막의 클라이막스에 와 있는 셈이라고. 책 속 나의 금융/재무지수 레벨 간단 체크리스트로 테스트를 한 결과 '보통'으로 나왔다. 은퇴 후 인생 2막까지 남은 시간 동안 독서나 세미나 참석 등의 방법으로 지식 쌓기를 꾸준해 해둘 것을 권유한다고 한다고 말이다. 펀드나 주식을 하지 않고 경제, 금융세미나 등에 참석하지 않았으니.. 앞으로는 경제기사도 자주 챙겨보고 독서도 열심히 해야겠다.
페이지를 넘길수록 그동안 재테크 준비가 많이 부족했던 것 같아 은퇴와 노후에 대한 불안감이 점점 커졌는데 이러려고 읽은 책이 아니니 해답을 찾기 위해 밑줄까지 그으며 집중해서 읽었더랬다. 은퇴설계는 버킷리스트를 작성하는 것부터 시작한다고 꼭 하고 싶은 일을 계획하고 목표를 세워보라고 한다. 그리고 필요한 금액과 활동들은 구체화해서 직접 실천할 수 있게끔 해야 한다고. 그리고 40대가 노후를 대비하는 세 가지 방법으로 '열심히 일하고 아껴서 저축할 돈 만들기, 연금자산 마련하고 관리하기, 세금 줄이기와 투자로 돈 불리기'라고 한다. 특히 40대 외벌이 부부라면 국민연금 맞벌이 구조를 갖췄는지 꼭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단다. 매달 국민연금을 내고 있지만 고갈 시점은 앞당겨지고 지급받는 나이는 점점 뒤로 늦춰지고 있어 아무리 100세 시대라지만 솔직히 다 돌려받을 수 있을지 불안하긴 하다. 길게 낸 만큼 더 많이 받기 위해 연금을 들지 손해 보려고 들진 않으니 말이다. 하지만 노후설계의 기초가 국민연금이고, 어쨌든 저소득자에겐 유리한 구조라고 한다.
저금리 시대 투자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말하며 퇴직연금은 TDF, 개인연금은 연금저축과 개인형 IRP, 주식 등 다양한 투자자산에 자금을 배분하고, 동시에 해외자산으로 투자와 관리 범위를 더 넓혀 연금관리를 해야 한다고 한다. 그리고 40대는 부동산과 같은 공격적 자산 증식 수단보다 보수적으로 접근해 연금 재원부터 확보하는 것이 합리적이란다. 부동산은 필요할 때 현금화하기 쉬운지, 연금처럼 정기적인 수입을 꾸준히 창출할 수 있는지의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고 말이다. 그 외 복리효과와 연금 자산관리 비법 등 하나하나 다 옳은 말이 많았지만 점점 생소한 금융상품이 등장해서 낯설기도 하고, 이쪽 지식이 부족했기에 다소 어렵고 복잡하게 느껴져 개인적으론 책을 덮기까지 술술 읽히는 내용은 아니었다. 책 속 은퇴자금 상황별 액션플랜도 평범한 일반인이 아니라 수입도 많고 자산 비중이 어느 정도 안정되고 여유가 느껴지는 중산층 대상이 많았던 것 같아 그 부분이 조금 아쉬웠다. 그만큼 남들보다 노후준비가 미흡했고 비교가 되니 참고할게 많아서인지 더 동기부여도 되고 자극도 된 요 책! 계획적인 저축과 골고루 투자처를 분산시켜 노후자금을 마련하기 위해서 공부할게 많아 보인다. 그래서 서두르지 않고 자주 펼쳐보며 차근차근 하나씩 익혀나갈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