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1 - 잃어버린 계절 이병주 전집 3
이병주 지음 / 한길사 / 200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정래의 태백산맥을 읽기 전에 읽어야 될 소설. 조정래는 80년대 한참 유행하던 진보의 논리로 태백산맥을 써서 공전의 히트. 영화화까지 됐지만, 문학적 성과는 상대적이다는 생각. 지식인의 눈으로서 이병주가 혼신을 다해 쓴 대하 소설이며 어떤 장면에서는 사실감이 오히려 조정래를 능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국화와 칼 - 일본 문화의 틀
루스 베네딕트 지음, 김윤식.오인석 옮김 / 을유문화사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일본이라는 나라와 일본인에 대한 인류학적 보고서이자 입문서.1945년 일본패망 전 미국국무부에서 인류학자인 베네딕트여사에게 의뢰하여 집필되었다고 하는데, 일본에 대한 선입견을 배제하고, 자료에만 의지해서 그런지 가장 객관적이라는 평이다.일본특유의 문화와 삶의 양식에 대해 잘 알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행복한 책읽기 - 김현 일기 1986~1989, 개정판
김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하나의 출판트랜드로 자리잡은 무슨무슨 독서(방법)관련 서적의 원조가 아닐까 싶다. 그러나,이 책을 감히, 지식전달이나 하면서 책팔아 먹기위한 요즘 책과는 비교할 수 없다. 김현의 메타비평적이고 실존적 시각이 잘 녹아있다. 우리나라에서 비평의 새장을 연 그는, 너무. 일찍. 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매천야록 -상
이장희 지음 / 명문당 / 200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사료적 가치와 역사적 평가는 논외로 하고, 당시 전라도 구석(구례) 고집센 천재 선비의 시각에서도 동학도가 동비로 지칭되는 도적떼에 불과하였다는 사실이 당시 양반들의 인식에 대한 한계를 느끼게 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ㄹㄹㄹ 2019-09-15 18:41   좋아요 2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글쎄요.. 당시 그걸 체험한 사람의 시각이 정확할까요 아니면 수백년 후에 정치적 시각이 덧씌워진 역사적 해석을 배운 사람의 시각이 정확할까요?

정석원 2021-01-24 19: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ㄹㄹㄹ- 당시에 체험한 사람의 시각이 옳다는 그런 논리라면, 이완용을 비롯한 을사오적에 대한 당신의 평가도 비슷하겠네요.
 
이토 히로부미 - 원흉과 원훈의 두 얼굴
이종각 지음 / 동아일보사 / 2010년 5월
평점 :
품절


안중근이 우리나라에서는 애국자이듯, 이토 히로부미역시 일본에서는 조국근대화를 성공시킨 영웅이다. 이 책에서는 이러한 역사적 평가의 상대성을 인정하는 바탕에서 이토히로부미의 공과 과를 평가하고 있다.아울러 우리나라 고종과 황실의 무능과 비겁함에 불끈 주먹이 쥐어지기도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