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즈와 구더기 - 16세기 한 방앗간 주인의 우주관 현대의 지성 111
카를로 진즈부르그 지음, 김정하.유제분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 서양문화사 강의를 들으면서 추천받았던 이 책을 최근 동네도서관에서 발견하고 설레는 마음으로 읽게 되었는데, 앞부분의 한국어판 서문에 나와있는 저자와의 대담내용부터... 어지러운 각주와 어려운 학술용어 때문에 그만 덮을 뻔했다.

 

그나마 옮긴이가 서문에서 탐정소설과도 같은 이야기 진행의 박진감과 구성의 조밀함”, “실마리 찾기”,“진실을 밝혀내는 열쇠운운.. 꼬시는 말을 늘어놓는 바람에 혹시나하는 기대(<장미의 이름>수준?)로 끝까지 읽게 되었다. 그래서, 결론은? 역시나엄연한 역사(미시사)연구서다! 그래도 일반적인 학술연구서와 달리 구성과 문체가 소설형식이어서 흥미를 유발하긴 한다.(재미는? 글쎄...)

 

이 책의 저자인 카를로 진즈부르그는 미시사를 대표하는 이탈리아 태생의 역사학자인데, 어머니가 소설가였다는 이유도 있어서인지 일반적인 학술연구논문과 판이하게 상당히 문학적인 글쓰기를 하고 있다. 아마도 미시사연구라는 것이 상상과 추리의 힘을 빌려 여백을 채워야 할 경우가 많은 것과도 관련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 책에 대해 대략적인 소개를 하자면, 16세기 이탈리아 상층부(지배계층)의 문화와 종속(민중 또는 피지배)계층의 문화가 교류하는 경계, 그 틈새의 인물, 방앗간 주인 메노키오의 우주관을 파헤지는 내용으로 종교재판의 기록을 토대로 하고 있다.

 

저자는 16세기 루터의 종교개혁으로 코너에 몰린 교회의 이단 심문관과 인쇄술의 보급으로 글을 읽고, 쓸수 있으며 간단한 암산능력을 갖춘 방앗간 주인 메노키오의 심문과정을 통해 당시 민중계급의 우주관을 추론해 간다. 여기서 쟁점이 되는 것이 전형성또는 대표성의 문제 일터인데 과연 그럭저럭 먹고 사는 방앗간 주인(게다가 교구의 행정관이다.)이 민중의 대표자격이 되는가? 메노키오의 우주관이 민중의 전형적 사고인가? 의 문제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이 사건이 매우 특이하고 개별적인 사례이기는 하나 당시 민중의 사고에 이성과 상상력이 틈입하고, 생활양식에서도 근대의 맹아가 잠복해 있었을 것이라는 큰 흐름은 어느 정도 읽을 수 있다는 선에서 정리한다. (최소한 메노키오는 보카치오의 <데카메론>과 단테의 <신곡>을 읽었거나 들었으며, 지상천국을 상징하는 토머스 모어의 <유토피아>에 대해서도 알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소설로 치면 주인공이랄 수 있는 메노키오는 그리스도에 대해 이단적이고 불경한 발언을 했다는 혐의를 받고 종교재판정에 끌려와 심문을 받게 되는데 이단 심문관에게 하는 답변은 나름대로 조리있고, 태도도 매우 당당하다.

 

(메노키오) “제가 생각하고 믿는 바에 따르면, ·공기·물 그리고 불, 이 모든 것은 혼돈 그 자체입니다.이 모든 것이 함께 하나의 큰 덩어리를 형성하는데 이는 마치 우유에서 치즈가 만들어지고 그 속에 구더기가 생겨나는 것과 같습니다. 이 구더기들은 천사입니다.”(185)

 

(이단 심문관) “만약 천사들을 창조해낸 그 물질이 없었더라면, 또 혼돈이 없었더라면 하느님은 혼자서 세상의 모든 구조들을 창조하실 수 있었을까?”

 

(메노키오) “저는 재료 없이 어떤 것을 만든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하느님이라 할지라도 재료가 없었더라면 그 어떤 것도 만들어 내지 못했을 것입니다.”(이상 185-189쪽 발췌)

 

정말 대책없는 강심장이다. 그의 답변을 보면 그가 사상적으로 일관된 체계가 있거나 논리적이지는 못하지만 스콜라 철학에 기반한 책을 읽었던지, 어디서 주워 들었을 공산이 크다. (“바늘 끝에 천사가 몇이나 앉을 수 있을까?”참고로 천사9품계론에 의하면 우리가 흔히 말하는 천사 'angel'은 최하위인 9등급. 다시말해 9급공무원 되시겠다.) 이 문제적 인물, '메노키오'는 어쩌면 공명심에 들뜬 현란한 말솜씨를 가진 허풍쟁이이거나 고지식한 확신범(양심범), 또는 둘 다 일 가능성이 매우 농후한 인물이다. 결국 그는 처음 이단혐의로 고발되었을 때는 운좋게 2년만 살다 나왔는데, 나불대는 입을 단속하지 못하고, 15년후에 다시 종교재판에 넘겨져 결국 화형에 처해진다.

 

공교롭게도 이무렵 지동설을 믿었던 수도원 수사 출신 철학자 조르다노 브루노(1548~1600)

선고를 받는 나보다 선고를 내리는 당신들의 두려움이 더 클 것이오라는 말을 남기고 불에 타 죽었다.(이 당시 종교개혁의 여파로 마녀재판이 강화되고, 부랑자나 집시들과 같은 소외 집단들에 대한 통제가 엄격하게 실시되었다.)

 

그러고 보니 비슷한 시기 우리나라에서도 성리학적 질서에 반기를 들어 역적혐의로 죽은 허균(1569~1618)이 있다. 죽기전 그의 마지막 말은? “할 말 있소!” 그러나 그는 '할 말'을 전혀 하지 못하고 찢겨죽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8-03-04 11: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긴즈부르그, 진즈부르그. 저자명 표기를 뭐 써야할지 모르겠어요...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