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역 이정표 도난사건
이세벽 지음 / 굿북(GoodBook)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어른들을 위한 현실과 판타지를 적절히 배합한 동화같은 소설!

철수는 엄마를 잃어버리고 7년간 동대문운동장역에서 노숙자로 살고 있다. 세상을 지배하고 있는 황금쥐를 닮았다고 사람들은 얘기했지만 철수는 그닥 달가워하지 않는다. 철수에게 엄마는 희망이다. 7년을 기다렸지만 언젠가는 꼭 나타나리라는 마음을 갖게 해주는 희망이다. 권력을 쥐었지만 나이가 들어 혀짧은 소리를 하는 황금쥐는 멍하니 있다가 느닷없이 지하철의 이정표들을 먹고 싶다는 생각에 침을 질질 흘린다. 그리곤 은색쥐에서 이정표들을 먼지하나 날리지 말고 가져오라고 명령한다. 권력에 아부하는 인간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은색쥐는 고양이파를 시켜 모든 지하철의 이정표를 수거해올 것에 대해 요구하고 철수는 우연히 목격자가 되어 쫓기는 신세가 된다. 한편 가난하게 자랐지만 자수성가한 현직 부장판사는 황금쥐에게 스카웃 제의를 받고 고민하다가 결국 거절하고 지하철을 이용해 출근하던 중 모든 역의 이정표가 사라진 것을 알고 갈팡질팡 헤매게 된다. 그 와중에 철수를 만나 둘은 달의 문을 통해 낯선 곳에 떨어지고 그곳에선 아무도 그들을 볼수도 만질수도 없다. 자신이 실종되어 망연자실한 가족들을 본 부장판사는 어떻게든 현실로 돌아오려 노력하고 우연히 만난 우체통은 자신을 희생해 비밀을 철수에게 말해준다. 둘이 함께해야만 절망의 골짜기를 다시 꿈과 희망의 발전소로 만들수 있다고 했지만 철수가 황금쥐의 손자라는 사실을 알게 된 부장판사는 부정부패에 물든 사람으로 변해간다. 둘의 의견이 맞지 않아 싸우던 중 고양이들에게 붙잡혀 결국 황금쥐에게 끌려오고 황금쥐는 그들을 다시 되돌려보낸다. 결국 철수와 부장판사는 또다시 경계를 뛰어넘어 꿈과 희망 발전소로 돌아가 사람들이 다시금 꿈과 희망을 갖을 수 있도록 열심히 노력한다.

인간과 동물의 경계를 허물고 전개되는 이 소설은 판타지를 이용해 권력에 아부하고 돈만 좇는 현대인의 모습을 풍자하고 있다. 깊이 있는 소설이라기 보다는 한편의 동화책을 본 느낌이다. 책 표지에 그려져있는 철수와 부장판사가 하늘로 날아가는 그림을 책을 읽고 난 후에야 그들이 다시 희망을 찾아가는 모습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할머니쥐가 어린 고양이들을 예뻐하며 기르다가 그 수가 증가하면 쥐약을 먹여 모두 죽여버리고 어린 고양이만 남겨두는 모습은 왠지 씁쓸함이 느껴졌다. 그리고 꿈과 정의등의 정신적인 것보다 물질적인 것에 집착하는 우리네 모습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