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계 생명체를 찾아서 과학과 사회 2
프랑수아 롤랭 지음, 김성희 옮김 / 알마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안그래도 요즘 서태지의 음반 마케팅의 일환이었던 외계인에 관심이 많았다.
작년에 있었던 미스테리 서클이랑 코엑스 상공에 등장했던 UFO와 같이 서태지는 자신의 관심분야였던 미지의 세계에 대한 관심을 자신의 음악과 결부한 마케팅으로 이용했다. 팬들은 미스테리 서클을 그가 만들었다는 것에 놀랐고 이제 더이상 놀라기보다는 함께 동참하는 분위기이다. 그 덕분에 나는 화성에 대한 자료를 찾아보기 시작했고 어쩌면 지구인보다 더 우월한 생명체들이 고대에 존재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까지 하게 되었다. 화성을 촬영한 사진을 보고나서 그곳에 오래전에 물이 흘렀다는 사실도 처음 알았다. <외계 생명체를 찾아서> 를 읽으면서 내가 갖고 있던 관심거리와 책의 주제들이 비슷해서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던 것 같다. 

우주에는 수많은 별들과 행성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지구를 제외한 우주 다른 곳에 또다른 생명체가 존재할 확률은 높다. 인간은 오래전부터 외계 생명체 또는 외계인의 존재에 대해 막연히 생각해왔으며 과학이 발달하면서 이들에 대한 탐사에 가속도가 붙기 시작했다. 이 책은 우리에게 우주에 얼마나 많은 외계 생명체가 있는지 그리고 외계 생명체 탐사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우리의 궁금증을 해결해준다. 외계 생명체 탐사는 두가지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나는 태양계 내의 천체들을 대상으로 원시 생명체나 과거에 살았던 생명체의 흔적은 찾는 것이다. 그동안 우리는 탐사를 위해 각종 우주선을 태양계 천체들로 보냈다. 또 하나는 지능을 가진 고등 생명체 또는 외계인에 대한 탐사로서 많은 전파망원경이 외계인이 보내고 있을지 모를 신호의 포작을 시도하고 있다. 우리 역시 외계인에게 우리의 존재를 알리는 신호를 보낸다. 

대부분의 천문학자들은 언젠가는 외계 생명체 또는 외계인이 발견될 것으로 믿는다. 만일 그렇게 된다면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 지구 생명체가 유일한 생명체가 아니라는 사실만으로 인간은 많은 충격을 받을 것이고 생명체의 기원에 대한 증거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 밖에 과학 기술, 사회, 정치, 문화, 종교적으로 엄청난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현재 우리 문명의 장래는 지극히 불확실하다. 인위적이건 자연적이건 인간이 초래한 재앙이 이제 이 문명을 종말로 이끌지 모른다. 외계인의 존재가 밝혀진다면 우리는 외계에서 우리와 비슷한 사례를 찾을수도 있고 인류의 미래를 예측하고 잘못된 점을 바로잡을 수도 있을지 모르겠다. 하지만 그렇게 되기 까지는 무수한 시간이 걸릴 것이고 그때까지 우리는 이러한 시도를 멈추지 말아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