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의 역사와 아이를 가지고 싶은 욕망 과학과 사회 1
피에르 주아네베로니크 나움 그라프 외 13인 지음, 김성희 옮김 / 알마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파리 과학산업관 세미나에서 현직 의사, 법학자, 정신분석학자, 인류학자, 역사학자등 다양한 경험과 역량을 갖춘 전문가들의 여러 견해를 모아서 정리한 텍스트이다. 출산의 역사를 시작으로 문화와 사회, 상상 속의 혈통, 아이를 가지고싶은 욕망과 부모가 되고 싶은 욕망 등으로 나뉘어 있는데 각각의 전문가들이 주제에 맞게 자신의 의견을 내놓았다. 최근에는 의료과학이 발달하면서 출산을 위한 의료적인 행위들이 아이를 가질 수 없었던 사람들의 욕망을 채워줄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는데 이러한 의료적 기술의 개입은 부모가 되는 일에 대한 사회적 기준을 바꿀 수도 있게 되었다. 

생물계가 남자와 여자 두가지 성으로 나뉘어 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아주 다양한 시스템이 존재한다. 또한 현대 사회에는 핏줄에 따른 부모에 더해 여러 종류의 사회적인 부모가 존재하는데 기증을 통한 의학적 출산과 입양의 특징은 또 다른 부모를 만든다. 새로운 가족 형태(동성애 부부나 트랜스젠더 부부, 아이를 원하지 않는 여성 등) 안에서 아이를 가지고 싶은 욕망이 나타나거나 나타나지 않는 것에 관해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들은 아이를 가지고 싶은 욕망과 부모가 되는 일에 대한 우리의 생각이 새롭게 바뀌고 있음을 말해준다. 사후 임신이나 복제 등과 같이 성이 개입되지 않은 출산은 혈통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지, 근본적으로 혈통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의문들에 대한 여러 질문과 쟁점에 관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의 의견이 다양하게 나타나 있다. 결과적으로 개인의 정체성과 관련된 여러 문제를 둘러싸고 있는 ‘혈통-출산-성생활’이라는 삼각구도가 정삼각형이 아니라는 사실, 즉 삼각형의 세 각에 해당하는 요소들이 기호학적인 가치에서 서로 대등하지 않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사실 출퇴근길에 이 책을 읽자니 왠지 모르게 조금 민망한 생각이 들곤 했는데 아무래도 책의 제목 때문이었던 것 같다. 결혼적령기로 보이는 여자가 아이를 가지고 싶은 욕망이란 책을 읽으니 임신때문에 고민하나? 하는 생각을 타인들이 할까봐서. 그리고 200페이지가 채 되지 않는 책이지만 생각의 틀을 잡기에 어려움이 많았는데 아무래도 그동안 과학서적은 읽어본 적이 거의 없었던 나의 무지함 때문인 것 같다. 한 챕터들이 그리 길지 않았음에도 읽고 난 후 머릿속에서 주제가 명확히 정리되지가 않았기에 글을 쓰기에 어려움이 많았다. 앞으로는 인문학이나 과학분야의 책들에도 조금 더 관심을 갖고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