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에게 가는 길 - 일곱 살에 나를 버린 엄마의 땅, 스물일곱에 다시 품에 안다
아샤 미로 지음, 손미나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아무래도 전 아나운서 손미나가 번역을 했다는 것을 빼곤 얘기할 수 없을 것 같다. 사실 내가 이 책을 읽고 싶었던 이유도 여행작가로서 그녀가 내놓았던 두권의 책을 재미있게 읽었기 때문이다. 똑 부러지는 성격의 그녀가 번역한 작품이라면 일단 믿어도 되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스페인에 머물당시 밤새 눈물을 흘리며 읽었다던, 그래서 나중에 꼭 자신이 번역해 한국에 소개하고 싶었다던 책이라는데 어떤 내용일까 하는 궁금증이 생기는건 당연하지 않은가.

카메라를 들고 우리를 응시하는 예쁜 여인의 표지를 보면 일단 호기심이 생긴다. 이 책은 2003년도에 쓴 <갠지스의 딸>과 2004년도에 쓴 <달의 두가지 얼굴>을 묶어 내놓은 것이라 한다. 일곱살에 인도에서 입양된 소녀, 아샤. 원래 그녀의 양부모는 쌍둥이를 입양하려 했으나 한 아이가 아파서 죽게 되자 일곱살이 된 그녀를 입양한다. 운명이라는 것도 스스로 하기 나름이라는 생각이 드는게, 아샤는 고아원에 있을때부터 수녀님을 따라 다니며 엄마 아빠를 갖게 해달라고 했다고 한다. 그 수녀님께서 지금의 부모님에게 편지와 사진을 보내게 되고 그녀는 스페인에서 새로운 인생을 시작하게 된 것이다. 음악선생님이었던 아샤는 NGO 활동으로 인도에 가게 되고 그곳에서 자신이 자랐던 고아원을 방문하여 자신을 보살펴주었던 수녀님을 만나 일곱살까지의 자신에 대한 이야기들을 전해듣는다. 아샤의 엄마는 죽었고 아버지가 자신을 세번 버리려 했다는 사실은 그녀에게 깊은 상처를 남겼다. 첫번째 방문 후에 썼던 책이 히트를 하고 아샤는 몇년 후 촬영을 겸해서 다시 한번 인도를 방문하게 된다. 그때 그녀는 자신이 책에 쓴 내용중 잘못된 부분이 있다는 얘기를 전해 듣게 되고 엄마가 죽고 갓난 그녀를 살리기 위해 어쩔수 없이 아버지가 그녀를 수녀님에게 맡겼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리고 자신이 태어나고 살았던 장소를 찾아가서 아직 살아 있다는 같은 이름의 언니, 아샤와 재회한다.

입양아로서 어느 곳에도 깊이 뿌리 내리지 못하고 정체성을 찾아 방황하는 모습은 혼혈이었던 오바마를 생각나게 했다. 그도 아샤도 자신이 태어난 곳에 가서 자신의 뿌리를 찾은 후에야 비로소 삶에서도 안정감을 찾게 된 것 같다. 1970년대에는 입양이 쉬운 일이 아니었을 텐데 양부모님이 그녀와 동생을 얼마나 아꼈는지는 그녀가 스페인에 도착하고부터 썼다는 중간 중간 사진과 함께 삽입된 엄마의 일기를 통해 느낄 수 있었다. 입양 사실을 숨기는 우리나라 정서와 다르게 나중에 커서 자신의 뿌리를 궁금해 할 아이들을 위해 모든 걸 기록해두었다는 사실은 인상적이었다. 솔직히 자전적 에세이라 소설만큼의 진한 감동은 느끼지 못했지만 번역가 손미나의 작품으로서는 훌륭하다고 생각한다. 문장들이 매우 깔끔했다. 아, 그녀는 정말 못하는게 없구나. 정말 부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