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에 대한 소개를 보면서 처음 보았던 게 견책소설이란 단어였다. 견책소설이란 아편전쟁이후 혼란스럽던 청나라 말기 사회개혁을 목적으로 씌여진 소설을 말한다. 책을 읽다 보면 아무렇지 않게 아편을 피우는 관료들과 청렴결백을 가장하여 오히려 백성들을 더욱 괴롭히는 탐관오리들의 모습을 쉬이 볼 수 있다. 이런 혼란스러운 시기에 탐욕스럽지 않고 정의로운 라오찬이란 인물을 통해 각지에서 일어나는 비리들을 폭로하고 해결해나가는 이 소설은 서민들에겐 하나의 위로가 되었을 것이다. 이 책은 의술을 배운 라오찬이 중국 각지를 다니면서 병든 사람들을 고쳐주고 지방 관리들의 치정 행태를 기록한 일종의 여행소설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아픈 사람들의 신체적 질병을 고치는 것은 물론 부패로 얼룩진 사회를 고발하고 그들의 아픔을 공유하며 올바른 해결책을 제시하는 현자의 모습을 하고 있다. 날카로운 이성과 따뜻한 마음으로 사람들을 대하니 모든 사람들이 라오찬을 좋아하였고 그를 칭송해 마지 않았다. 이 소설은 주인공 류어가 자신의 행적을 기록한 자전적 소설로 알려져 있다. 라오찬(老殘)이란 늙고 힘없는 사람이란 뜻이고, 유기(遊記)란 여행자의 기록이니, 이 책은 늙어 힘없는 관찰자가 각처를 떠돌아다니며 견문한 사실을 적은 여행의 기록이 된다. 소설 속에 등장하는 혹독한 관리는 실제 인물로 알려지고 있는데, 전반에 나오는 위센은 산동순무를 지내면서 의화단 사건 당시 다수의 기독교를 학살한 위센이고 후반에 등장하는 깡삐는 군기대신을 지낸 만주 귀족 출신의 깡이가 모델이라고 한다. 그들은 청렴결백하다는 자부심만으로 백성들의 고통을 외면하고 혹독하게 백성들을 탄압했다. 저자는 이것을 탐관오리보다도 더 나쁜 관리로서, 출세욕과 아집이 뒤섞여 모순을 야기하는 관리 사회의 전형적인 병폐 가운데 하나라고 고발하고 있다. 이 외에 추운 겨울날 얼어붙은 황하강의 뱃길을 뚫기 위해 얼음을 깨는 백성들의 모습이나 기녀들을 통해 들려오는 지식인들의 가식과 허위에 대한 폭로 마지막으로 속 라오찬 여행기에 등장했던 부모의 권력에 의존해 횡포를 부리던 쑹 이야기들을 통해 그 당시의 사회상을 다양하게 묘사하고 있다. 지금까지 몇권의 중국소설을 읽어봤지만 지명이나 사람이름 등 한자가 너무 많아 괜스레 어렵게 다가왔는데 내용면에서 라오찬 여행기를 비롯한 중국소설들은 기존에 읽었던 외국소설들과는 색다른 매력이 있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