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애호가로 가는 길
이충렬 지음 / 김영사 / 200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4년 유럽여행을 갔을 때 네덜란드 고흐박물관에서는직접 해바라기를 보았고 오스트리아에서는 클림트의 키스를, 루브르박물관에서는 다빈치의 모나리자를 보았다. 그중 나에게 가장 큰 인상을 주었던 작품은 클림트의 "키스"였다. 한쪽 벽면을 가득 채우고 있던 빛나던 그림. 그 앞에서 나는 그림에 빠져들 듯 오랫동안 숨을 멈추고 그림을 바라보았던 기억이 있다. 그 이후 나는 전문적인 지식은 없었지만 시립미술관이나 한가람미술관 등 전시회가 열리는 곳이면 꼭 찾아가 보곤 했다. 하지만 한국작가의 작품은 아는 것이 거의 없었는데 이 책을 읽고 나니 우리나라에도 훌륭한 작가들이 많이 있다는 사실을 새삼 느끼게 되었다. 

처음 이 책을 접했을 때 나는 좋은 그림을 골라 사두고 시간이 흐른 후 가격이 오르면 팔아버리는 이른바 그림에 대한 투자라는 개념으로 접근했었다. 하지만 이내 그런 장삿속과는 다른 그림애호가의 의미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고 그림을 구입하는 것을 그림과 인연을 맺는다고 표현하는 저자의 방식이 매우 인상적으로 다가왔다. 이 책에는 우리나라 작가의 아름다운 작품들이 많이 등장한다. 그림도 있고 판화도 있고 사진도 있는데 익히 들어본 작가도 몇분 있었지만 대부분 처음 들어보는 작가분들이 많았다. 저자는 외국에 살면서 수시로 메일을 통해 또는 큐레이터에게 추천을 받아 작품과 인연을 맺기도 하고 미국의 외진 곳에서 우연히 한국작가의 작품을 발견하기도 했다. 작품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으면 작가에게 직접 연락하여 그림의 의도에 대한 설명을 듣기도 하는 모습을 보면 그림에 대한 저자의 열정을 느낄 수 있다.

나와같은 사람에게 그림은 비싸고 가진 사람들의 전유물인 것처럼 생각되는 것이 사실인데 저자는 어느 누구라도 그림을 향한 열망이 있다면 애호가가 될 수 있다고 말한다. 또 그 열망이 진정이라면 곳곳에서 인연을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앞으로는 우리나라 그림에도 많은 관심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외국작가의 전시회도 좋지만 한국작가들의 전시회도 두루두루 보러다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