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속 전래동화 쏙쏙 뽑아 읽기 : 2학년 개정교과서 수록 교과서 속 전래동화 쏙쏙 뽑아 읽기
세사람 지음, 이명애 그림 / 풀빛 / 201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교과서 속 전래동화 쏙쏙 뽑아읽기 1학년에 이어 2학년도 읽게 되었다.
책에 대한 전반적인 느낌은 삽화가 전래동화에 어울리게 만화적인 캐릭터가 아니라 동양적인 느낌이라서 책의 내용과 잘 어울리는 것 같고, 전래동화의 내용도 읽기 쉽게 간단하게 쓰여 있어서 아이들이 읽기가 좋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이야기가 끝나면 나오는 사고력이 쑥쑥 코너도 그냥 일반적인 질문들도 있었지만, 아이들과 함께 생각해 볼 수 있는 내용들이 있어서 아이와 함께 이야기하면서 읽으면 더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제1장 느낌을 말해요

[호랑이와 곶감]이야기는 2학년 1학기 첫 듣기 말하기 시간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인물의 말에 나타난 마음을 알기 이다.



본문의 큰 따옴표 속의 글을 읽어 보고, 그때의 마음이 어떻했을지를 아이와 함께 이야기해 보면 재미있을 것 같다. 우리는 곶감에 대해서 알고 있으니..아이들이 조금 이해하지 못하거나 웃기다고 표현하겠지만...... 

[설문대 할망]이야기는 교과서 본문의 내용보다는 조금더 자세하게 나와 있었다.  그리고 삽화속의 할머니가 좀더 온화하게 묘사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제2장 알고 싶어요.
 

[사이좋은 친구]이야기는 무엇에 대한 설명하는 글인지 추측하는 방법을 알기가 주 내용이다. 교과서에서는 바로 엽전뭉치라고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모양과 쓰임과 소리를 들려주고 난 후에 엽전이라는 사실을 알게 해 주는데, 이 이야기의 원래 내용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지만,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기에는 교과서의 내용이 좀더 낫다는 생각이 들었다.

제3장 이런 생각이 들어요

[토끼와 거북이[이야기는 교과서의 본문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고,  단원의 시작부분에서 이번 단원에서 배우고자 하는 내용을 알게 해 주는 이야깃거리로 삽화가 제시된 것이다. 특히 이럴 때 아이들을 위해서 이런 책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생각보다 많은 아이들이 전래동화를 안 읽었기 때문에 이런 내용에 대한 사전지식이 없다면 수업을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으니까 말이다.
[금구슬을 버린 형제[와 [금도끼 은도끼[는 본문내용이 듣기자료로 제시되니 아이들이 굳이 읽지 않아도 알 수 있을 것 같기도 하다.
 

제4장 의견이 있어요 

[콩쥐팥쥐]이야기는 듣말2-1의 6단원의 단원 시작부분에서 이야기속 인물들에게 하고 싶은 말을 조리있게 하는 내용에서 나온다.
 

 

밑빠진 독에 물을 붓고 있는 콩쥐를 생각하면서 어떤 말을 해 주고 싶은지..그외에도 우리의 전래동화속에는 착한 주인공은 너무 자신의 의지에 대한 표현력이 약한 것이 하나의 흠인 것 같다.그래서 요즘은 그런 내용에 반하여 반전동화같은 류의 이야기들이 나오는 것 같기도 하다.
 

제5장 따뜻한 눈길로
 

[견우와 직녀]이야기는 읽기 7단원에 나온다고 하는데 대체 어디에 있는 것인지 아이의 책에서 찾기가 힘들었다. [소금장수와 기름장수]이야기는 교과서본문에 끝까지 내용이 아닌 중간부분까지 나와 있고, 뒷이야기를 꾸며보는 활동이다.  미리 이야기를 아는 것이 좋은지 아니면 모르고 새로운 내용으로 각색하는 것이 좋은지는 잘 모르겠지만, 그래도 어느정도 내용을 아는 상태에서 각색하는 것이 조금은 아이들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으니까 미리 읽어두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제6장 재미가 새록새록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이야기는  교과서속에서 인형극을 감상하는 활동이므로 내용을 미리 글을 읽고 인형극을 본다면 훨씬 이해가 쉬울 것 같다. [불개이야기]는 교과서랑 이 책의 결말부분에서 조금 다른 점이 있다. 이럴 때 아이들이 혼선을 가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잠깐 들기도 했다. 하지만 요즘은 아이들이 다양한 결말을 쓰는 학습내용이 많으니까 어느정도는 이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7장 느낌을 나누어요

[소가 된 게으름뱅이]과 [팥죽할멈과 호랑이]는 두 이야기 다 교과서속에서는 인형극으로 감상하게 된다. [소가 된 게으름뱅이]는 [황소가 된 돌쇠]라는 제목으로 나온다. 그리고 [팥죽할멈과 호랑이]에 나오는 주인공들은 이야기들마다 조금씩 다른 것 같다. 2-2학기 즐거운 생활에서도 [팥죽할멈과 호랑이]의 인형극이 나온다. 그래서 좀더 자세하게 이야기를 실었다면 더 좋았을 것 같다. 줄글보다는 대화글로 실어놓았다면 아이들이 학교에서 인형극을 준비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제8장 바르게 알려줘요
 

[도깨비 감투]이야기도 간단한 편지글에서 제목이 언급된 정도이다. 도깨비 감투 이야기를 알고 있는 아이들에게는 상관없지만 모르는 아이들에게는 이야기를 읽을 수 있는 계기가 되어 좋은 것 같다. 

제9장 생각을 나타내요
 

 [지혜로운 아들]은 2-2학기 3단원에 교과서 본문으로 나오는 내용이다. 항상 느끼는 것이지만,교과서 본문에 다 나오는 전래동화는 굳이 이렇게 책으로 다시 편집할 필요가 있을까 생각이 들고, 그와 반대로 [밖으로 나가신 훈장님]이야기는 훈장님이 내신 내기에 대한 간단한 언급만 놀이터라는 코너에서 하고, 그 결과가 나오지 않으니 아이들과 생각해 보고 난 후에 원래의 결말을 읽어주면 아이들이 좋아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제10장 하고 싶은 말 

[의좋은 형제]이야기도 6단원의 공부할 문제를 알아보는 데에 삽화로써만 나온다. 이럴 때 이 내용을 아는 아이들과 알지 못하는 아이들 사이에서는 어느정도의 갭이 생길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토끼전]도 [토끼의 간]이라는 제목으로 나오는데, 본문 내용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 토끼와 자라에 대해 하고싶은 말을 조리있게 말하는 내용이다. 대부분의 아이들의 [토끼의 간]이야기는 2-1학기 듣말의 5단원에 첫 삽화자료라서 1학기때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을 하면 될 테지만..그래도 혹시나 모르는 아이들을 위해서 좋은 자료인 것 같다.

[아씨의 일곱친구]이야기는 2-2학기 읽기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데, 전편이 아닌 일부만 수록되어 있어 단행본으로 나와 있는 책을 읽어도 좋지만, 이렇게 엮어서 같이 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제11장 재미가 솔솔

[심청전]이야기는 7단원의 제일 마지막 부분에 놀이터 라는 코너에 살짝 언급되고 있고, 심청전, 토끼전, 인어공주 이야기가 혼합된 새로운 이야기로 엮어서 결말을 추측하는 내용이다.  

교과서속의 전래동화를 살펴보면서 본문속에 원작의 내용이 다 나온 것은 굳이 이렇게 책으로 편집할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고, 교과서 속에 삽화나 제목 등 간단하게 언급되고 있는 내용들은 이렇게 책으로 편집되어 나옴으로써 아이들에게 원작의 내용을 다시 한번더 살펴볼 수 있는 것 같아서 좋은 것 같다.그리고 토끼전과 의좋은 형제 이야기는 교과서속 전래동화 쏙쏙 뽑아읽기 1학년편에도 나와있는데 또 나와서 이렇게 시리즈물로 나오는 책의 편집에 대해서 조금은 실망스러운 점인 같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써니람다 2011-01-12 12: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성스러운 서평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