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에게 도시는 각각의 특색으로 뚜렷이 구별되는 영혼을 지닌 존재였고,

각각의 고유한 본질과 멋과 분위기를 지닌 독자적인 복합 생명체였다. - P35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녀는 난생처음으로 한 여성의 존엄을 유지하는 데 그녀의 마차를 유지하는 데 드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돈이 들 수도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 P40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서론
중산층은 사라지는가

경제적 양극화가 진행되면서 한국 사회는 *소수의 부유층과 *다수의 저소득층으로 나누어지고 그 사이를 *메우고 있던 *중산층은 차츰 *쪼그라들고 경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무기력하고 좌절한 집단으로 변모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변화는 *한국에서만 일어나는 일은 아니다. *21세기 거의 모든 *선진 자본주의 국가에서 *비슷하게 일어나는 현상이기도 하다.

따라서 *경제적 양극화와 중산층의 위기는 미국을 비롯한 많은 선진국에서 주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에 출판된 중간계층에 관한 문헌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표현들은 *쪼그라든 중간계층 squeezed middle class, *불안한 중간계층 anxious middle class, 또는 중간 계층의 *위기, 몰락, 소멸 같은 말들이다. - P9

가장 대표적인 저서로 *2019년에 *OECD 연구팀이 발간한 『*위기에 놓인 쪼그라든 중간계층, *Under Pressure: The Squeezed Middle Class 이라는 보고서가 있는데 여기에서는 OECD 국가들의 중간계층을 다음과 같이진단하였다.


*중간계층은 한때 하나의 *열망이었다.

여러 세대에 걸쳐서 중간계층은 *미래가 *보장된 *안정적인 직장을 통해 *안락한 집에서 살면서 *보람 있는 라이프스타일을 누릴 수 있는 *여건을 확보한 것을 의미하였다.

또한 중간계층은 가족들이 *자녀들에게 *더 나은 미래를 *기대할 수 있는 기반이기도 했다. 그렇지만 이제 우리가 성취한 *민주주의와 *경제성장의 반석이 *예전처럼 *안정적이지 않다는 신호들이 감지되고 있다.

*많은 OECD 국가들에서 *중간층의 소득은 상대적으로나 절대적으로나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 중간계층의 라이프스타일에 필수적인 요소들, 특히 *주거와 *고등교육의 비용은 *소득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해왔다.

*노동시장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일자리의 *불안정성 역시 증대되어왔다. 오늘날 중간계층은 점점 더 *험난한 파도 앞에 놓인 한척의 *배처럼 보인다.

이러한 중간계층의 모습은 한국에서도 거의 동일하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오히려 한국에서는 중간계층의 불안한 상황이 다른 선진국보다 더 단시간 내에 더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왔다. - P10

서울올림픽이 열리던 1988년쯤에 와서는 인구의 70%에 달하는 사람들이 스스로 중산층에 속한다고 믿을 정도로 중산층의 규모는 늘어났다.

그렇지만 이렇게 괄목할 만하던 발전 추세는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가 발발하면서 갑작스럽게 역전되기 시작했다. 한국 경제는 imf의 엄격한 관리체제에 들어갔고 대규모의 기업 파산이나 도산 그리고 대량 해고가 있따랐다.

*사무직 노동자들이 이렇게 대규모로 타격을 받게 된 것은 한국의 경제발전이 시작된 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

이들 중 많은 사람들이 *자영업으로 들어섰지만 일천한 경험과 부족한 자본, 그리고 자영업자들 간의 격화되는 경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귀중한 퇴직금까지 날리는 상황이 되었다.

이런 경제 환경의 변화는 자연히 중산층의 위기를 동반하게 된 것이다. - P11

외환위기가 지난 후에 노동시장의 신자유주의적 개혁이 더욱 폭넓게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대다수의 기업들은 회사의 *인력을 줄이거나 남아 있는 정규직 일자리들을 *비정규적 고용으로 전환하는 이른바 *노동시장 유연화 정책을 시행하였다.

그에 따라 대다수 사무직 노종자들에게 *평생고용이란 과거는 일이 되어버렸고 *퇴직연령은 자아졌으며 *해고의 가능성은 항시적인 위협으로 남게 되었다.

이런 변화 속에서 *중산층의 경제적 기반은 심각하게 훼손될 수밖에 없었다.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 중산층에서 탈락했다고 믿게 되었고 각 일간 신문들은 부지런히 설문조사를 시행해서 이 사상을 확인하고 문제화하는 역할을 계속했다. - P12

중산층 또는 중간계층은 극히 애매하고 복합적인 개념이다. 따라서 사회학자들 간에도 *공통된 정의가 존재하지 않는다.

폭넓게 얘기해서 *중간계층 또는 중산층은 자본주의 사회의 기본 *계급인 *자본자와 *노동자 계급 중간 지역에 위치하며,

어느 정도 *경제적 여유를 즐기고, 자녀들에게 *고등교육을 시킬 수 있으며 또 *사회적으로나 *문화적으로도 남들 하는 만큼 따라서 할 수 있는 *여유가 있는 사람들고 구성된 *집합체로 이해된다. - P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떤 감각을 가장 그리워하게 될지 물으면 사람들은 대부분 시각을 꼽는다.

그러나 삶의 질 지표와 자살률 데이터를 보면 실제로 *후각을 잃은 이들의 상황이 훨씬 더 나쁘다. - P15

피부는 인체에서 가장 큰 감각기관으로, 몸무게의 16~18퍼센트를 차지한다.

사람 간의 따뜻한 접촉은 사회적 인지적 정서적 웰빙에 무척 다양한 도움을 준다. 커플 간의 접촉은 정말 강력해서 신체적 고통마저 완해할 수 있다.

이제 유료로 안아주는 포옹 전문가도 있다. - P14

노화는 모든 감각에 피해를 주지만, 각 감각의 쇠퇴는 각기 다른 나이에 시작된다.

다행히 시각과 청각의 경우엔 더 나빠지지 않게 보호해주는 안경과 보청기가 있지만,

아쉽게도 보다 정서적인 감각인 *촉각과 *후각, *미각을 *회복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 없다. 결과적으로 노인들은 *감각 결핍을 겪을 위험에 처한다. - P15

*센스해킹이 정확히 뭘까?

이는 *사회적 인지적 정서적 웰빙을 위해 *감각의 힘과 *감각 자극을 사용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모든 감각의 고유한 능력을 알꼬, 감각들이 *상화작용해 *감정과 *행동으 ㄹ이끌어내는 예측 가능한 방식을 이해해야만, 자신만의 감각 경험을 가장 효과적으로 해킹할 수 있다. - P16

마지막 장에는 *감각 과부하, 감각 결핍, 감각 균형, 다중감각적 일치,

그리고 최근 더 자주 보이는 기술이 매개하는 간접적인 센소리엄 sensorium (개인이 지각하는 독특하고 변화하는 감각 환경의 총체적인 특성. 주변 세계에 대한 지각, 해석, 감각이 포함된다)에 대한 몇몇 핵심 문제와 통찰을 요약할 것이다. - P18

아기들은 엄마가 먹은 걸 맛보았을 뿐만 아니라 엄마가 들었던 걸 함께 들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자견에서 감각 자극을 많이 받을수록 좋다. 또 주변 환경을 무의식적으로 흘려보내지 않고 감각을 자극하는 모든 것에 주의를 기울이면 더 많은 이점을 누릴 수 있다. - P2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 사회학이론의 전개 과정

1) 고전시대

사회학은 산업혁명, 프랑스혁명 및 계몽사상을 중심으로 한 지식혁명이 중첩된 서구사회의 근대적 변환기에 태동한 학문으로 알려져 있다.

즉, 자유노동의 증가, 길드체제의 와해, 매뉴팩처 및 공장제 대공업의 융성 등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적 변혁,

그리고 이성중심/인간중심 사고, 기계론적 세계관, 진보적 사회관을 주조로 하는 *사상적 변혁에 대한 지적 반응의 일화닝었던 것이다. - P7

고전적 전통들은 뒤르켐주의, 마르크스주의, 베버주의, 미드주의 및 공리주의 계열로 나누어져 현대 이론으로 이어지게 된다.


- 콩트에서 뒤르켐으로 이어지는 프랑스의 집합주의 전통
- 애덤 스미스나 허버트 스펜서의 사상에 반영된 영국의 공리주의 전통
- 마르크스, 베버 및 짐멜로 대변되는 독일 관념주의 전통
- 존 듀이나 미드가 주도한 미국의 실용주의 전통
- 파레토와 모스카로 대표되는 이탈리아의 엘리트주의 전통 - P7

2) 현대적 양상


*1940~50년대에 주도덕 이론체계로 군림한 *기능주의 패러임이 *갈등 패러다임을 위시한 다양한 대안적 패러다임에 의해 도전받게 된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분할의 시대로 접어들게 된다.

*1990년대 이후 보다 파편화되어 손꼽을 수 있는 소수 이론들이 각축을 벌이던 단계를 넘어 *과분화 hyper-differentiation 상태로 이행하고 있다. - P8

사회체계의 실재성에 관한 *존재론적 입장에 따라 사회학이론은 ‘독자적 성격을 지닌 사회’가 실존한다는 *사회실재론 social realism

사회란 실재하는 개인들의 집합에 불과하다는 *사회명목론 social nomialism - P9

3) 최근 현황 : 이론적 지평의 확장

그러나 사회학이론은 오늘날 전술한 "5대 이론"의 궤도를 벗어나 다방면으로 분유하고 있다.

이 같은 새로운 양상을 *‘전환(turn) 명제의 형식을 통해 열거해 보자면,

*문화적 전환(cultural turn), *정신분석학적 전환(psychoanalytic turn) 및 *생물학적 전환(biological turn)이라는 세 가지 유형을 우선적으로 꼽을 수 있을 것 같다.

체계이론가 *탈콧 파슨스(TalcottParsons)가 위계적 체계 도식에서 제시한 *4대 체계가

*문화체계(cultural system), *사회체계(social system), *인성체계(personality system) 및 *유기적체계(organic system)로서(Turner, 1991: 65-66 참조),

사회체계에 해당하는구조적 측면에 관심을 기울이던 사회학이론이 일차적으로 관심을 갖게 될 영역이 나머지 세 가지 핵심적 하위체계가 될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또 *근대성에 대한 *재귀적 인식에 근거해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의 통합을 도모하는 *후(後)근대적 전환(late modern turn)도 의미 있는 시도로 꼽힌다.

그러나 이론연구가들은 최근 그 외에도 다양한 영역들로 전환을시도해 왔다. 명시적 성과가 돋보이는 것들을 추려보면 다음과 같다(Ritzerand Smart, 2001; Turner, 2008; 하홍규, 2013). - P10

- 역사적 전환(Historical Turn in Social Theory)

- 공간적 전환(Spatial Turn in Social Theory)

- 유동적 전환(Mobility Turn in Social Theory)·

- 지구적 전환(Global Turn in Social Theory)

- 코스모폴리탄 전환(Cosmopolitan Turn in Social Theory)

-감정적 전환(Affective Turn in Social Theory)

- 신체적 전환(Corporal Turn in Social Theory)

- 기술적 전환(Technological Turn in Social Theory)

- 구성적 전환 (Constitutive Turn in Social Theory)

- 체계론적 전환 (Systematic Turn in Social Theory)

- 탈근대적 전환 (Postmodern Turn in Social Theory)

- 연결망적 전환 (Networking Turn in Social Theory)

- 소통론적 전환 (Communicative Turn in Social Theory)

- 언어적 전환 (Linguistic Turn in Social Theory)

- 서사적 전환(Narrative Turn in Social theory)

- 실용주의적 전환 (Pragmatic Turn in Social Theory)

- 존재론적 전환 (Ontological Turn in Social Theory)

- 실천적 전환 (Practice Turn in Social Theory) - P11

6. 지식세계와 현실 세계의 틈새 메우기

1) 사회학적 상상력

사회학적 상상력 social imagination을 역설한 밀즈.

*개인의 문제를 *공공의 문제로 전환시킬 수 있는 *통찰력인 *사회학적 상상력.

밀즈는 "*관념이 *내용에 비해 과대하면 *거대이론의 함정에 빠지기 시우며, *내용(사실)이 관념을 삼켜버리면 *추상적 경험주의의 함정에 빠지기 쉽다"면서

*거대이론의 *공허한 사변주의 및 양적 방법론에 매몰된 편협한 경험주의를 *사회학적 상상력을 저해하는 *위협의 쌍두마차라고 경고하고,

사회학적 상상력의 증진방안으로 연구생활과 *일상생활의 *일체화를 향한 연구활동의 *일상화를 역설한 바 있다. - P15

2) 공공사회학


베버는 <직업으로서의 정치>에서 사회적 대의실현을 위한 *뜨거운 열정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현상을 *관조하는 냉철한 *균형감각,

거기에 *행위동기에 대한 *심정윤리를 넘어 *행위결과에 대한 문제의식을 지닌 *책임윤리를 강조하면서 사회학의 공공적 사명을 주지시켰다. - P16

3) 메타사회학


종합과학의 전형에 해당하는 사회학은 *분석적 *해석적 *비판적 관심 모두를 필요로 한다. 종합적 관심 synthetic interest

금세기 초입에 들어서면서 *전문성에 대한 *일방적 찬양이 *퇴조하면서 대신

*탈경계 border-crossing,
*통섭 consilience,
*혼합 fusion,
*혼성 hybrid 등을 내세운 융합이 오히려 바람직한 사회적 목표나 이상으로 권장됨.

따라서 분화-세분화의 원리, 이성과 이분법적 세계관 등에 입간한 근대적 사유양식은 적합성의 한계를 드러내며 설득력을 잃어가고 있다. - P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