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이 기본소득을 꿈같은 이야기로 여길 테지만 핀란드에서는 정부와 여당이 이 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준비를 추진중이며, 인도에서는 2020년까지 한두 개의 주에서 도입할 예정이다.

(핀란드에서 2017-18년 2년간 2000명에게 매달 560유로(약 74만 원)을 지급하는 실험을 진행했으며, 2019년 2월 "고용은 못 늘렸지만 실험 참가자들의 행복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는 1차 예비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이란에서는 석유로 얻는 공적 수익을 국민에게 분배하며, 이미 그것만으로 최저한의 생활이 가능하다. 그런데도 이란 사람들의 노동의욕은 거의 낮아지지 않는다.

현재 세계적으로 과거 어느 때보다 기본소득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배경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AI)과 로봇이 많은 사람의 일자리를 빼앗으리라 예상하기 때문이다.

1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어떻게 괴물이 되어가는가 - 신자유주의적 인격의 탄생
파울 페르하에허 지음, 장혜경 옮김 / 반비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변 세상이 우리에게 들이미는 거울은 우리가 누가 될 것인지를 결정한다." 

물론 이 역시 저절로 일어나는 과정은 아니다. 이 관계는 타인이 우리를 보고 싶어 할 때만 제 기능을 발휘한다. 

철학자 프리드리히 헤겔 (Friedrich Hegel)이 ‘자의식의 기초‘가 ‘타인의 시선‘에 있다고 말했는데 이 역시 우연은 아닌 것이다. 

통제의 시선이건 사랑의 시선이건 타인의 시선을 통해 우리는 우리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식한다. "아무도 날 존중 해주지 않아." 라는 말은 곧 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이런 맥락 에서 ‘존중‘은 매우 중요하다. 어원으로 볼 때 리스펙트(respect)는 리스피케레(re-spicere)에서 왔고 이는 ‘거듭 새롭게 보고, 보여진다‘는 의미이다.

  사랑의 시선을 받지 못하고 자란 아이는 발을 딛고 설 땅이 없다. 자신을 쌓아갈 수 있는 토대가 없다. 반대로 사랑의 시선을 받고 자란 아이는 안정된 인간으로 자라날 수 있다.

2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어떻게 괴물이 되어가는가 - 신자유주의적 인격의 탄생
파울 페르하에허 지음, 장혜경 옮김 / 반비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지점에서 나는 기본 방향을 다시 확인한다. 아마도 모든 생명체의 특징일 것이다. 

우리는 전체에 소속되려 하면서 동시에 독립적이고자 한다. 

기원전 5세기 그리스 철학자 엠페도클레스(Empedokles)는 끝없는 합일과 분리의 원인이 되는 두 가지 자연력을 거론한 바 있다. 바로 필리아(Philia, 사랑)와 네이코스(Neikos, 다툼)이다.

 프로이트는 이를 두 가지 원초적 충동으로 보았다. 사랑으로 하나가 되려는 에로스(Fror)와 공격적으로 분리되고자 하는 타나토스(Thanatos), 즉 동일성과 차이 말이다.

2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양 철학사 - 상 - 고대와 중세 서양 철학사 - 상
요한네스 힐쉬베르거 지음, 강성위 옮김 / 이문출판사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V. 소피스트 사고와 가치의 전도(顚倒)

  이오니아학파의 지혜에 비하자면 소피스트들의 정신은 완전히 새로운 것이었다. 그 이유는 소피스트들이 다른 대상들을 다뤄서뿐만 아니라 세계 대신에 ‘인간‘이 대상으로 된다 - 본질적으로 완전히 다른 종류의 정신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 정신의 지난날에 대한 관계는, 웅변가의 연구가에 대한 관계와 같았으며, 직업인의 예술가에 대한 관계와 변호사의 재판관에 대한 관계와 같았다.

프로타고라스, 고르기아스, 크리티아스, 트라시마코스.

66-67쪽

a) 정치와 수사학

소피스트들이 하려고 했던 것은 무엇인가? 사람들은, 이 소피人트들이 도덕교사였다고들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이 항상 말하고있는 덕(Arete)은, 덕(德)과는 상관이 없는 말이며, 말의 원래적인 뜻으로 새기자면, 숙련(熟練)이라고 번역됨직한 말이다. 

즉 이 때에 중요한 것은 정치적인 숙련이다. 시대는 바로 페리클레스의 제국주의 시대였다. 새로운 땅을 점령하고 이용하는 사람들과, 의지를 관철하고, 그 무엇인가를 실행하고, 또 그 무엇인가가 되려고 하는 그런 사람들이 필요한 시대였다. 

소피스트들의 학문은 거듭 말해지고 있는 바와 마찬가지로, 교양이라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일반 민중들의 고양이 아니라, 정치적인 지도자들을 양성해내는 것이었다. 소피스트들이 열어놓은 새로운 전망은 젊은이들을 열광시키고도 남음이있었다. 이들이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은 거의 없었다. 그리고 세상사람들은 이러한 새로운 생활양식을 몸에 지닌 사람들을 좋아했다.

 목표에 이르는 길은 ‘변론‘이었다. 그런데, 이 변론은 어떠한 변론이었던가? 물론 이 변론은 빛나는 것이었음에 틀림없다. 사람들은 모든 것에 통달해 있어야만 했고, 항상 모든 것에 관해서 말할 수가 있어야만 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변론은 ‘확신‘을 주는 것이어야만 했다. 

확신을 주는 기술은 ‘소피스트들의 덕‘이다. 그럼 무엇에 관하여 확신을 준단 말인가? 프로타고라스는 "빈약한 사실을 보다 강한 사실로 만들지 않으면 안 된다"고 대답하고 있다. 그리고 고르기아스는 변론이란, 그것을 먹으면 모든 것을 다 할 수 있는 그런 마약과 같은 것이어서,
(사람들에게) 독을 주기도 하고, 사람들을 호리기도 하는 것이라고 한다. 

따라서, <확신>이란 진리에만 이바지하는 것이 아니며, 사람들이 항상 필요로 하고 있는 것을 관철하게 해 주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우리는 이런 것을 확신시키는 것이라고는 하지 않고, 설복하는 것이라고 한다. 소피스트들은 자기들의 기술을 영혼을 지도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플라톤은 영혼을 지도하는 것이 아니라, 영혼을 사로잡는 것이라고 대답한다. 그들의 기술은 단순한 논쟁술이며, 말을 곡해하게 하는 것이며, 겉꾸밈이다. 객관적인 진리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주관적인 이해관계가 중요하다. 이렇게 되어서, 소피스트학이라는 말은 오늘날과 같은 나쁜 뜻으로 되었다.

b) 소피스트들의 세계관

- 이들의 학문은 소크라테스 이전의 형이상학에 나타났던 지혜도 아니며, 엄밀한 뜻의 학문도 아니다.

- 가장 중요한 것은 실천적인 열의를 불러일으키는 것이었다.

- 그들의 근본적인 사상은 회의주의적 상대주의와 권력론이다.

68-69쪽.

 이오니아학파는 인간의 이성이 진리를 파악할 수 있는가 하는 회의에 사로잡힘이 없이 철학을 했다. 그러나 이제 이런 의문이 나타난다. 

프로타고라스는, ‘보편타당하고 객관적인 진리‘는 없다고 주장한다. 진리는 대상에 매달려 있지 않다. ‘객관적인 사태‘는 우리들의 정신에 - 어떤 정신에 의해서도 같은 방법으로 - 끌어 들여지지 않고, 항상 주관(주체) 자신이 스스로의 의견을 말하고 있은 뿐이다.

우리는 사물들을 이렇게도 볼 수 있고, 저렇게도 볼 수 있다. 「나에게는 개별적인 사물들이 나에게 나타나는 그대로이고, 너에게는 너에게 나타나는 그대로다.(단편 1). 

이렇게 해서 인간은, 진리라고말해지는 모든 것에 대해서 척도가 된다. "인간은 만물의 척도다.
존재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그것들이 있다는 사실의 척도요, 없는 것들에 대해서는 그것들이 있지 않다는 것의 척도다."(단편 1).

7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폴 발레리 시집 윤동주가 사랑한 시인
폴 발레리 지음, 윤동주 100년 포럼 옮김 / 스타북스 / 2017년 3월
평점 :
품절


해변의 묘지


비둘기 떼들이 노니는 이 조용한 지붕은,
소나무 사이, 늘어선 묘석이 사이에서, 맥박치고 있다.
‘정오‘의 극은 지금 화염으로 바다를 구성한다.
끊임없이 되풀이하며 밀려오는 바다를.
신들의 고요함에 긴 시선을 던지고
아아, 사색 후에 오는 기분 좋은 이 답례.

(...)

바람이 인다…… 살아야만 한다. 
한 면에 이는 숨결은 책을 펼쳤다 다시 닫고,
파도는 산산이 부서져 바위에서 내뿜어져 나온다.

날아라, 날아라, 현기증 나는 책장들이여,
때려 부숴라, 파도여. 기뻐 춤추는 물로 때려 부숴라.
삼각돛의 무리가 고기 잡던 이 고요한 지붕을.


205, 214쪽. 해변의 묘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