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면 알수록 위대한 우리 과학기술의 비밀 - 개마무사가 달리고 신기전으로 쏘다
이명우 지음 / 평단(평단문화사)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조들이 남긴 빛나는 문화유산들은 우리민족의 우수성을 짐작하게 한다. ‘우리 과학 기술의 비밀은 우리민족의 과학적 우수성과 창의성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배우고 공부할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되었다.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뿌듯한 자긍심이 커진다.


5부로 나뉘어 철기병 군단, 고대 금속공예품, 고대세계 최고 최대의 목조 건축물, 거석문화의 기원 고인돌, 조선이 발명한 세계 최초의 2단 로켓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저자는 문명의 발생, 유래와 신화, 역사, 문화를 자유자재로 아우르며 독자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2800년이나 전에 구리를 늘려 그물을 짰다는 사실은 현대의 기술 수준으로 생각해 보아도 대단한 일인데, 그 그물의 구리실이 지름 0.25밀리미터 정도로 가늘다는 사실은 고조선의 금속세공 기술이 당대 세계 최고 수준이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35)’ 상상을 해봐도 놀랍기 그지 없는 장면들이 속속 등장한다.


얼마 전, 역사 강의를 들으면서도 비파형동검의 숨은 장치에서 우리민족이 얼마나 과학적이고 창의적인지 확인할 수 있었는데 U자형으로 오목하게 일직선으로 파인 결입부에 대해 본문에서 좀더 자세하게 듣게 되었다. 기병이 자유롭게 활동하기 위해서는 말 갑옷과 등자와 말안장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전투시 균형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마구가 등자다. 이 등자가 고구려에서 사용하다 중국, 이후에 몽골과 시베리아 기마 민족으로 퍼지고 수세기후에 전 세계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니(66) 사소한 부분에서도 민감하게 그 중요성을 포착하고 적용하고 전파한 영향력이 실로 대단하다. 나노기술에 가까운 초미세기술로 주조된 다뉴세문경은 과연 어떻게 만들었을까. 2400년 전에 나노기술에 견줄 수 있는 현대적인 초정밀 세공기술을 보유하고 있었다는 사실도 불가사의할 정도다.


몽골군의 방화에 의한 황룡사와 9층 목탑을 비롯해서 세계 최고이자 최대의 보물들을 잃은 것은 너무 마음 아픈 사건이다. 조선이 당시 세계 최초의 2단 로켓 산화신기전을 만들어 낸 이후 국가 차원에서 발전시켜 나갔다면 우리의 역사가 어떻게 달라졌을까라는 저자의 말에 아쉬움이 깊어진다. 한껏 비상할 수 있었던 기회들이 스쳐지난다. 하지만 과학적이고 창의적이었던 우리 조상들의 지혜에 무한히 감동하게 된다.


책을 읽으며 방대한 지식을 유려하게 연결해서 보여준 저자에게 감명받기도 했다. 낯선 용어들은 하단에 어휘 풀이가 있어서 이해를 도와준다. 풍부한 사진 자료들도 소중하다. 청소년들도 이 책을 통해 민족적 자부심을 느끼고 우리 역사에 대해 좀더 깊은 관심을 가지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