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달인이 되려면 잘못된 문장부터 고쳐라 - 우리가 몰랐던 명문장의 진실
박찬영 지음 / 리베르 / 201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글을 잘 쓰고 싶다는 소망에 비해 결과물들은 실망스럽고 시간이 갈수록 글쓰기의 어려움을 체감하게 된다. 비문없이 바르고 명확하고 그러면서도 품위있는 글을 쓰고 싶다는 갈급함이 항상 앙금처럼 남아있다. 재미있으면서도 잘 쓴 글을 보면 부럽고도 존경스럽다. 이 책은 제목은 물론 전개형식이 독특해서 꼭 읽고 싶었다. 실제로 글을 쓸 때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컸다.


'바른 글은 좋은 글의 전제 조건이다. 문체는 글쓴이의 자유이지만 어법은 약속이다. (5쪽)',  '문장비평이 활성화되면 우리 사회에 범람하는 비문이 현저히 줄어들 것이다.(6쪽)' 라는 머리말에서도 바른 글의 중요성을 공감할 수 있다. 논술 지도사 과정을 들을때 비문고치기 연습을 하면서 제대로 쓰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실감했었다. 독서 지도사 공부를 할 때도 서평식 독서감상문을 끝도 없이 고쳐쓰던 생각이 난다. 품위있고 예의바르게 써야 한다는 선생님 말씀이 귀에 박혀서 친근한 대화체로 자연스럽게 써나가는 서평들을 늘 부러워하면서도 정작 나  자신은 틀에박힌 문체에서 벗어날 엄두를 못낸다.


책의 1부에서는 '문장의 달인이 되는 27가지 법칙'을 구체적인 첨삭 예와 해설을 통해서 설명한다. 2부에서는 유명작품 여덟 권과 신문의 칼럼, 사설을 27가지 법칙을 적용해서 분석한다. 책을 읽으며 이해할 수 있는 설명인데 이렇게 쓰기는 왜 그토록 어려울까 자책하게도 된다. 계속해서 찔림의 연속이다. 그 중에서도 '깔끔한 문장을 위해 군더더기는 생략하는 게 좋다. 글을 긴밀하게 연결할 자신이 없을 때 긴 문장이나 군더더기 표현을 쓰는 경향이 강하다.(19쪽)'는 말도 지키기 어려운 과제 중 하나다. 논술첨삭을 배울때도 문장이 절대로 50자가 넘어가게 쓰지 말라고 매번 강조하셨지만 내 문장들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늘어지고 있다. 다시 긴장하며 노력해야 해야겠다고 다짐해 본다.


 

 피동문,  '~에 의해'라는 영어식 표현,  자격격 조사'(으)로', 조사 '의'의 남용이 나의 고질적인 문제들이다. 접속어 남발도 빠질 수 없다. 인식하고 각별히 노력하지 않으면 잘못은 반복된다. 조목조목 문장 바르게 쓰는 법을 배울 수 있고 실천하기에 따라 좋은 문장가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10번 속독하는 것보다 1번 정독하는 게 낫고, 10번 정독하는 것보다 1번 필사하는게 낫다는 말은 타당하다.(221쪽)' 여기서도 비판적 베껴쓰기를 강조하고 있다.

 

 


유명한 작품에서 발췌한 문장 오류는 올바른 문장을 쓰는 것이 어렵지만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 한다. 꼼꼼한 설명을 내것으로 만들어서 아름다우면서도 정확한 문장을 쓰고 싶은 독자들, 학생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읽고 덮는 책이 아니라 계속 들춰보며 곁에 두어야 할 글쓰기 필독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