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로가 아닌 이대로 다릿돌읽기
안오일 지음, 김선배 그림 / 크레용하우스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에 제목을 보고는 몇 번이나 되풀이해서 읽어보았다. 떠오르는 여러가지 생각을 뒤로하고 책을 읽기 시작했을 때,

작가의 말과 차례를 보고는 이 책의 중요성을 알아챌 수 있었다.

주인공인 이대로는 한가지를 시작해서 끝까지 해내는 일이 거의 없는 아이다.

처음에는 쉽고 재미있었던 것들도 중간에 부딪히는 어려운 고비들에 막혀 포기하는 것이 습관처럼 되버렸다.

 

작가는 작가의 말에서 악기 이야기를 했다. 여러 악기를 배웠지만 끝까지 제대로 배운게 없다고.

우리 큰 딸이 생각났다. 지금 중 2인데 늘 아이와 부딪히는 것은 '끝까지 해내지 않는 것'이다.

그만두는 것도 습관이다. 플룻을 2개나 사면서 시켰는데 초등1학년에 시작했던 플룻을 계속 했다면 어른이 되어서도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친구가 되어 줄수 있었을 텐데...본인도 아쉽워하고, 엄마인 나도 속이 상한다.

그런데 늘 비슷한 방식이라는게 문제다. 중간에 그만두는 것은 습관이 되기에 가장 좋은 행동이다.

 

이 책은 이대로의 판타지 성장 모험담이라고 할 수 있다.

쉽게 싫증을 내고, 그만둠으로써 함께 놀던 친구들에게까지 피해를 주고, 핀잔을 듣게 된 이대로가 뒷 산 나무위에 올라갔다가 떨어지는데 그 곳은 바로 나무 안이다.

그 곳에서 만난 문지기 다람이는 세 가지 시험을 통과하지 못하면 애벌레로 변해서 평생 나무안에서 살아야 한다는 것을 알려준다.

 

엉킨 넝쿨을 풀기, 퍼즐 맞추기,산 정상까지 올라갔다 내려오기,수백장의 도화지 중에서 진짜 나이테를 찾아내기

등의 과제를 통과하면서 이대로는 끈기와 인내심, 성취의 기쁨, 자신감, 부모님에 대한 감사와 사랑을 깨닫게 된다.

 

나무와 나이테를 통해서 시간과 성장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고,

발전이 없는 이대로가 아니라 큰 길처럼 쭉쭉 앞으로 나아가라는 이대로가 되면서

앞으로의 멋진 시간이 눈에 보이는 듯 하다.

 

올라왔던 계단이 뒤에서 점점 사라지거나, 그림 안으로 손을 넣자 그림안으로 빨려들어가거나...

생생한 판타지는 책읽는 재미를 높혀주어서 순식간에 끝까지 읽으며 행복한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어린이가 읽으면 좋겠지만, 작심 삼일과 흐지부지가 패턴인 되어 고민인 어른들이 아이와 함께 읽어봐도 좋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