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는 오늘도 열심히 노는 중입니다
김미경 지음 / 바이북스 / 2024년 6월
평점 :
설렘과 설레발은 한 글자 차이지만 의미는 꽤나 간극이 크다. 무척 서두르면서 부산하게 구는 행동은 설레발의 사전적 정의다. 많은 경우 타인의 시선을 염두에 둔다. 설렘은 마음이 가라앉지 않고 들떠서 두근거리거나 그런 느낌을 뜻하는데 기꺼이 설렘을 감당하기 위해 일정분량의 내공은 필요하다. 물론 초점은 자신의 내면을 향하고 그곳에서 작동한다. 김미경의 『엄마는 오늘도 열심히 노는 중입니다(바이북스, 2024, 254면 분량)』는 설렘주의 에세이라는 단서를 달고 그 방법론을 독자에게 제안한다. 무감한 날들이 일상이라는 이름으로 습관이 되었다면 들떠서 두근거려본 기억은 한참 뒷걸음쳐야만 상기하게 될 텐데, 설렘의 정점, 정점의 연속이 특별한 일 없는 매일을 대체할 수 있다면 그 힌트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게다가 백세 시대에 공평하게 다가오는 인생 2막을 앞두었을 때 더욱 귀가 솔깃해진다.
“어려서부터 책이 좋았다”로 시작하는 책날개의 저자 소개는 이 책을 선명하게 요약한다. 공무원이 된 문학소녀는 아내도 되고 엄마도 되었지만 잠시 멈춤의 경계에서 ‘나의 진면목 재발견하기’라는 자아 찾기를 시작한다. 시작한다고 썼지만 알아차리는 순간에 이미 미션은 진행되고 있었고 좋아했지만 미루거나 잊었던 일들, 조각조각이 모여서 온전한 나로 맞춰지는 퍼즐은 시간과 경주하듯 일사불란하게 이루어진다. 때를 아껴 읽고 나누고 쓰는 일은 책을 좋아하는 독자라면 아마도 진한 동지의식을 발동시킬 것이다. 저자가 엄마를 어떻게 기억할 것 같느냐고 물었을 때 아이는 ‘열심히 사는 엄마’라고 답했는데 ‘열심히 논다’(p.24)는 말을 더 원했는지 모른다고 전한다. 열심히 놀았던 흔적은 1부, ‘인생 2막을 시작하는 당신에게’ 보내는 격려에서 시작하여 5부의 ‘멋진 마무리를 준비하는 당신에게’ 화답하는 응원까지 꼼꼼하게 담겨있다.
소중한 보물로 꼽은 컴퓨터 카페와 5년 다이어리가 특히 인상 깊다. 독서 모임과 함께 시작하여 꾸준히 발췌와 단상을 모았다니 보물창고가 따로 없다. 초독과 재독의 차이에 기뻐하고 기록하고자 하는 의지를 다져온 시간은 이미 완성형 행복회로다. 내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적극적으로 반응하고 신뢰하는 루틴은 모퉁이를 돌았을 때 나타날 장면을 꿈꾸게 하고 이루게 만든다. 책과 영화, 그림과 악기를 비롯한 예술을 어떻게 향유하고 나의 삶에 안착시켜 왔는가의 발로 뛴 기록이 힘 있고 울림이 있는 이유다. 독자는 어떤 책의 제목에, 어떤 그림에, 책과 글로 맺어진 벗들과의 시간에 함께 빠져든다. 자연스레 아직 만나지 못한 책과 영화 목록은 또 한 번 늘어가고 기억 속에 오래된 작품은 다시 꺼내어 보겠다고 의지를 다지게 한다.
관계 맺기는 시간에 비례해서 쉬워지는 일이 아니고 가까운 사이라고 강권할 수 없는데 추모의 방법을 제안하거나 기억에 잠든 이름들을 불러낼 때에도 책과 시간은 오히려 지팡이가 되어준다. 소주제 마다 부담 없는 분량으로 생생하게 포착하는 글은 저자의 진심이 생기로 닿는다. 우정은 어디서나 엔진이 되는 법, 민대희 작가의 다정한 작품 두 점도 책에 온기를 더한다. 에필로그와 부록은 저자의 어머니를 초청한다. 엄마와 딸의 글이 닮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나의 매듭을 단단하게 묶은 저자에게 축하의 말을 전한다. 무엇이 우리를 특별하게 만드는지 평범하지만 아름다운 지혜를 공유하는 책으로 일독을 권한다.
책 속에서>
나에게 논다는 것은 살아 있음을 느끼는 행위다. 끊임없이 보고, 배우면서 정체되지 않는 나를 보며 내가 살아있음을 느낀다. 사소한 것에서 행복을 느끼는 건 내 삶의 질과 행복지수를 높인다. 열심히 읽고 쓰며 뭔가를 배우는 내 모습에서 단단해진 자존감을 본다. 남과의 비교에서 많이 멀어지고 나의 만족에 최선을 다한다. 이런 가지만족은 나를 지탱하는 힘이 되기도 한다. 누가 무엇을 하든 그건 그 사람 몫이고 나는 내 몫의 삶을 산다는 당당한 자부심은, 내가 놀기 시작하면서 생긴 부수적이지만 아주 중요한 부분이다.(p.163)
(서평단-출판사 도서제공)